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중마동

  • 글자크기

지명유래

  • 중마동(中馬洞)은 1989. 1. 1일 전라남도 광양지구 출장소가 동광양시로 승격됨에 따라 행정운영등의 설치를 위해 그전의 중동(中洞)과 마동(馬洞)의 첫글자를 따라서 중마동(中馬洞)이라 하였음.
  • 한편 중동(中洞)은 본래 골약면 지역이었는데 중동지역내의 자연마을인 중촌(中村)이 위치상 용소와 길도마을의 한복판이 되므로 지형적 여건을 고려하여 그대로 중촌(中村)이라 한데서 유래된 지명이고, 마동(馬洞)도 본래 옛 골약면 지역으로 마흘(馬屹)∙애밑등∙와우(臥牛)∙사동(寺洞)으로 이루어 졌는데 당시 마흘(馬屹)과 사동(寺洞)의 글자를 따서 마동(馬洞)이라 하였음.
  • 마동(馬洞)이라 하였을 당시는 마흘(馬屹)이 가장 으뜸되는 마을이었는데 근처 산정(山頂)모습이 말(馬)형국이다 하여 처음에는 마리(馬里)라 하였는데 근년에 와서 마흘(馬屹)이라 개칭하였다고 전함
  • 그러므로‘중마(中馬)’고을 의미는 두 개 동(洞)이 복합적으로 두 글자를 합쳐 명명(命名)한 지명이라 여러 가지 뜻이 담겨져 있다고 하겠으나 직역하면‘복판으로 달리는 말(馬)’을 뜻하고, 고을지명으로 뜻풀이한다면‘날로 번창하는 고을’또는 ‘중심고을’이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음

연혁

연혁안내로 年代, 內 容, 典 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청동기시대
 
· 중마동 지역에서 현재 구석기, 신석기시대의 유물은 발견되지 않고 있으나 청동기시대 생활도구(연장, 사냥도구)인 돌도끼(石斧)1점, 돌칼(石劍)1점, 석촉(石鏃 : 돌화살촉)2점 등 모두 4점이 길호마을 앞해상 150m지점에서 출토됨.
· 출토유물은 현재 國立光州博物館에 보관되어 있으며 돌도끼(石斧)는 주상석부(舟狀石斧)로 날쭉이 넓고 머리쪽이 좁은형식이며, 돌칼(石劍)을 잘 갈아서 만든 점판암계 유경식 석검이고, 석촉은 2점으로 1점은 머리부분과 가운데 일부가 유실된 것이고 나머지 1점은 원형그대로 모습을 갖추고 있음.
· 동광양시의 선사유적 (이영문저, 1989)
· 동광양시 문화유적 학술조사보고서 (전남대 박물관, 1989)
· 문화유적분포지도 (순천대 박물관, 2000)
삼한시대 · 중마동 지역은 삼한시대에 마한 또는 변한지역이거나 어느지역에도 속하지 않은 완충지역 일수 있음. ('83광양군지)
· 근년에는 중마동 지역이 변한지역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음. ※옥곡면 경계지역에 가야산(伽倻山)이라는 명칭의 산이 있으며 골약동 군재마을과 진상면 비촌 마을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유적이 있음.
· 광양군지 p169(1983)
· 가야연맹사 p165 (김태식저, 2000.8)
· 2001년도 고교국사교과서 (상) p32
※광양군지 p169(1983) 전라남도지 제10권 p112(1956)
369∼370
(근초24-25년)
· 백제의 세력권에 속함 · 광양군지 p168(1983)
· 「일본서기」신공기49년조,50년조
346∼374
(근초고왕대)
· 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광양군지 p356(1983)
5세기말경 ·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 · 광양군지 p172(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13
(무령왕13년)
· 백제에 다시 속함 · 광양군지p172-173(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38
(성왕16년)
· 백제의 5방중 남방(南方:久知下城,현재求禮郡)의 삽평군(현재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삼국사기 지리지(1145)
663
(신라문무3년)
(660년 : 백제멸망)
· 나ㆍ당(羅ㆍ唐)의 지배하에 들어감

· 광양군지 p174(1983)
687
(문무왕7년)
· 통일신라시대 9주 5소경 설치로 중마동은 무진주(武珍州 : 현재 光州)의 삽평군(현재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광양군지 p176(1983)
757
(경덕왕16년)
·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 마로현(馬老縣)을 희양현(晞陽縣)으로 개칭함에 따라 중마동은 희양현(晞陽縣)지역이 됨. · 삼국사기 제37권(1145)
· 세종실록 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광양군지 p176(1983)
892
(진성여왕6년)
· 후백제 견훤(甄萱)의 휘하에 들어감 (918년 : 고려건국) · 전라남도지(1993)
· 지방연혁연구(1988)
936
(후백제 신검1년)
· 고려에 속함 · 고려사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전라남도지(1993)
940
(고려태조 23년)
· 고려태조 23년에 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 陽縣)으로 고쳐 승평군(昇平郡 : 현 순천시) 의 영현(領縣)이 됨에따라 중마동은 광양현 지역이됨. · 고려사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1988)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광양군지 p356(1983)
1172
(명종2년)
· 광양현에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승평군(昇平郡, 현順天市)으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중마동 지역이 처음으로 우리고장에 파견된 중앙관리의 감독, 지배를 받음.
· 명종2년(1172년)으로 추정
※'83년 광양군지는 예종3년, 1108년에 감무를 둔것으로 기록함.
· 대동지지 광양연현조 (김정호저 : 1864)
· 지방연혁연구 p274 (1988)
※광양군지p344(1983)
1413
(조선태종 13년)
(1392년 : 조선건국) · 광양현의 감무(監務)를 고쳐 현감(縣監)을 두어 처음으로 우리고장에 부임한 현감의 감독,지배를 받음. · 광양현이 행정조직상 승주군의 속현에서 완전히 벗어남.
· 중마동은 광양현 골약방(骨若坊)지역에 속함.
·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광양현 고속조(古屬條)(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광양현 고적조(古蹟條)(1530)
· 지방연혁연구p275(1988)
· 광양군지 p345(1983)
(고려 또는 그이전) · 고려 또는 그 이전 지방행정 편제
< 광양지역 >
· 지역촌 : 일반촌락
· 특수행정구역 : 鄕(2개소), 所(14개소), 部曲(4개소)
· 중마동지역은 지역촌인 일반촌락으로 이루어짐 (1592년 : 임진왜란)
 
1597
(선조30년)
· 왜구에 의해 광양읍성(光陽邑城)이 함락되어 중마동 지역이 왜구의 점령하에 들어감. · 대동지지 광양현 典古條 (金正浩編, 1864)
1597.12
(선조30년)
· 광양읍성 탈환으로 중마동지역이 왜병의 만행 에서 벗어남.
· 아군측 : 전라병사 이광악, 구례현감 이응서
· 적군측 : 왜교성 수장 소서행장
· 임진전란사 p723 p1063∼1065, p1083∼1085
· 선조실록 권95(1609)
· 난중집록권3, 정유12월조
· 광양군지 p241(1983)
1598
(선조31년)
· 전란으로 광양고을 폐허. 광양현이 순천도호부 진영에 일시 편입됨으로서 중마동지역이 순천 도호부에 소속됨. (곧 광양현으로 복구되었으나 연대미상)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전라남도지 제10권(1993)
· 지방연혁연구p275(1988)
1759
(영조35년)
· 광양현이 12面을 관할함
· 面名 및 面別 戶口, 남ㆍ녀 인구수가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 1759년 중마동(골약동지역 포함)
· 骨若面 : 호구304호, 남506명, 여563명
※面의 長을 권농관(勸農官)이라함
· 여지도서(下권) 순천진관 방리조 p761(1759) · 지방연혁연구 p277 (1988)
1789
(정조13년)
· 광양현이 12面, 147마을(村)을 관할함
· 마을(村)이름이 최초로 문헌상 기록됨
· 面→勸農官, 里→里正, 村→村正 또는 村長이라함
· 1789년 중마동 지역
<七骨若面의 12村 중 2村>
· 中洞村, 吉島村
· 호구총수 제6책 전라도 광양조(1789)
· 지방연혁연구 p278 (1988)
1869
(고종6년)
·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읍호(邑號)가 강등됨 · 철종실록,비변사등록,임술록
· 일성록, 승정원일기
· 광양군지p268-272(1983)
1872
(고종9년)
· 面단위 아래 里명칭이 처음으로 문헌상(지도) 나타남. · 중마동 지역 · 骨若面의 8개里 중 2개里 · 中洞里, 臥牛里 · 광양현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 1872)
1889
(고종26년)
(1876 : 강화도 조약)
·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 비변사등록 제270책
· 일성록 동년9월17일조
· 광양군지 p272(1983)
1894
(고종31년)
(1894 : 갑오개혁 시작)
· 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양의 많은 동학교도가 살해됨
· 섬 거 역 : 29명 학살(12.10)
· 각면(面) : 130여명 포살(12.8∼12.11)
· 규장각소장 잡책철NO1970
「광양현 포착동도성명성책」
· 광양군지p284-285(1983)
1895. 5.1
(윤달)
(고종32년)
· 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하면서 광양현(光陽縣)을 광양군(光陽郡)으로 개칭.
· 중마동은 남원부(南原府)관할 光陽郡 骨若面 지역이 됨.
· 칙령제98호(1895.5.26)
· 광양군지 p348(1983)
1896. 2.3
(건양1년
· 突山郡이 신설되면서 광양군에 속했던 9개 도서가 돌산군으로 편입되면서 돌산군 북면(北面)이됨. · 중마동 지역의 吉島가 돌산군 북면에 속함. · 칙령제13호(1896.2.3)
· 전남읍면편람 p130(전남도, 1985)
· 광양군지 p348(1983)
· 여수ㆍ여천향토지p155-156 (1982)
1896. 8.4
(건양1년)
· 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道制가 실시됨에 따라 全羅南道 光陽郡(4등군)이 됨.
· (중마동 지역)全羅南道 光陽郡 骨若面지역
· 칙령제36호(1896.6.25)
· 광양군지 p349(1983)
1899
(광무3년)
· 돌산군 북면(北面)을 돌산군 태인면(太仁面) 으로개칭
· 중마동지역의 吉島가 돌산군 태인면에 속함.
· 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道制가 실시됨에 따라 全羅南道 光陽郡(4등군)이 됨.
· 야수.여천향토지(1982)
· 여산(돌산)군지(1899)
1912 · 왜정시대 행정개편 이전 중마동지역 관할 里
<骨若面의 29개里 중 9里>
· 中洞里, 五柳里, 龍沼里, 杏亭里, 不老里, 細洞里, 馬屹里, 臥牛里, 寺洞里 (1905 : 을사보호조약) (1910 : 한일합방)
·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1912)
· 광양군지 p476(1983)
· 마을유래지p311(1988)
1914. 4.1
 
· 突山郡 太仁面의 여러도서를 다시 光陽郡 骨若面으로 편입함.(돌산군 폐지)
· 중마동지역은 돌산군 태인면의 吉島가 광양군 골약면 中洞里지역이 됨.
· 총독부 부령제111호 (1913.12.29)
연혁안내로 年代, 內 容, 典 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 왜정시대 행정개편 이후 중마동지역 관할 里 (骨若面의 10개里 중 2개里) · 조선면리동일람(1917)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지방연혁연구 p278-280
· 광양군지 p476(1983)
· 마을유래지p311(1988)
소속 리명 개편이전의 리명
2  
光陽郡 骨若面 中洞里 中洞里, 五柳里, 龍沼里, 杏亭里,不老里, 細洞里, 內島, 突山郡 太仁面 吉島
馬洞里 馬屹里, 寺洞里, 臥牛里 一部
1950 ∼1953 (1948.10.19 : 14연대 반란사건) (1950.06.25 : 6.25동란 발발) · 6.25동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되고, 이재민과 재산상 피해가 극심했음.
· 광양군지(1983)
1966. 6.1 · 주민 편의를 위해 골약면 太仁里, 金湖里를 관할하는 光陽郡 骨若面 太仁出張所 설치 (현, 중마동지역은 아님) · 광양군조례 제205호 (1966.6.1)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광양군지p354(1983)
1974. 11.1 · 골약면 태인출장소(태인리, 금호리 관할)에서 면단위 전반 업무수행 (현, 중마동지역은 아님) · 광양군조례 제374호 (1974.10.19)
1983. 2.15 · 광양군 골약면 태인출장소가 太金面으로 승격
· 태인출장소가 행정직제상 골약면의 지도, 감독에서 벗어남 (현, 중마동지역은 아님)
·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1.10)
1986. 1.1 · 골약면, 태금면, 옥곡면 광영리를 관할하는 全羅南道 光陽地區出張所 설치로 중마동 지역은 동출장소 골약면 지역에 속함. · 전라남도조례 제1554호 (1985.12.30)
1987. 1.1 · 1987.1.1기준 중마동 지역 행정구역 일람.
· 행정구역 : 골약면 지역, 2법정리 7행정리 11자연마을 20반 8,455인
· 소 재 지 : 골약면 성황리 463
·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통계연보p33-34(1988)
· 지방연혁연구 p285-286
· 광양군지 p476(1983)
· 마을유래지p312(1988)
연혁안내로 年代, 內 容, 典 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법정리 행정리 자연마을 반수 인구 비고  
계(2) 7 11 20 8,455  
소계 4 7 13 5,040  
中洞里 中村里 中村 2 670  
龍沼 1
吉湖里 吉湖 5 2,029
不老里 不老 1 1,668
杏亭 1
細洞 1
五柳里 五柳 2 673
소계 3 4 7 3,415  
馬洞里 馬屹里 馬屹 1 412  
애밑등 1
臥牛里 臥牛 4 2,901
寺洞里 寺洞 1 102
1989. 1.1
1989. 1.1
· 전라남도 광양지구 출장소가 東光陽市로 승격 되어 동광양시 洞의 명칭 및 관할구역설정
· 東光陽市 : 10個 法定洞
· 중마동 지역 : 東光陽市 2개 법정동
· 중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중동리 일원
· 마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마동리 일원
· 동광양시 행정운영동의 설치.
· 東光陽市 : 7個 行政洞 ·중마동 : 東光陽市 중동, 마동일원
· 법률 제4050호 (1988.12.31)
· 동광양시조례 제88호 (1989.1.1)
「東光陽市 洞 의 名稱및 管轄區域에 관 한 條例」
· 동광양시조례 제89호 (1989.1.1)
「東光陽市 洞 의 設置및 洞長定數 條例」
1995. 1.1 ∼현재 · 동광양시, 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복합 형태의 光陽市 설치로 광양시 중마동이 됨
· 중동 : 중마동1통∼10통 및 13통∼27통일원
· 마동 : 중마동11통∼12통 및 28통∼29통일원
· 법률 제4810호(1994.12.22)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에 따 른 행정특례등에 관한법률」
연혁안내로 年代, 內 容, 典 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 2001.12.31 현재 중마동 행정구역
· 행정구역 : 광양시 중마동 29통 169반
· 소 재 지 : 광양시 중마동 1314-2
 
· 광양시조례 제404호 (1999.11.9)
「광양시 동리 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 한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339호 (1998.11.5)
「광양시이통반 설치 조례 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468호 (2001.5.16)
「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및 동장정수조례 중 개정조례」
· 광양시규칙 제269호 (1999.11.9)
「광양시 이통 반 설치조례 시행규칙중 개정규칙」
관 할 구 역
계(29) 169  
소계 7  
1통 1 2-5 6 7 중동1295-1∼1296∼15번지 일원
중동1297∼1324번지 일원
중동551∼674, 1344∼1351, 1696∼1731번지
중동1352∼1353, 1357∼1361번지일원
소계 6  
2통 1-6 중동1301-1번지(동광A301동∼303동)
소계 10  
3통 1-10 중동1294번지(주공A101동∼110동)
소계 6  
4통 1-6 중동1354번지(동광A501동∼503동)
소계 5  
5통 1-5 중동1354번지(동광A504동∼505동)
소계 8  
6통 1-8 중동1356-1번지(동광A506동∼509동)
소계 3  
7통 1-3 중동1356-2번지(선우A101동∼102동)
소계 4  
8통 1-4 중동1434번지(주공A101동∼104동)
소계 4  
9통 1-4 중동1434번지(주공A105동∼108동)
연혁안내로 年代, 內 容, 典 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관 할 구 역  
소계 4  
10통 1 2 3 4 중동 상촌마을 일원
중동 중촌마을 일원
중동 하촌마을 일원
중동 신촌마을 일원
소계 4  
11통 1 2 3 4 마동 마흘마을(마동586∼630)일원
마동 마흘마을(마동631∼675)일원
마동 마흘마을(마동280∼399,676∼974)일원
마동 121∼1123번지 일원
소계 5  
12통 1 2 3 4 5 마동 동촌마을 일원 마동 중촌마을 일원
마동 서촌마을 일원 마동 북촌마을 일원
마동 달동네 일원
소계 7  
13통 1-2 3 4-5 6 7 중동1362-1∼1391-6번지 일원
중동1393-1∼1415-8번지 일원
중동1419-1∼1447-6번지 일원
중동1449-1∼1520번지 일원
중동1522-1589번지 일원
소계 4  
14통 1-4 중동1376번지(시영A101동∼102동)
소계 7  
15통 1-7 중동1416번지(남양파크101동∼106동)
  관 할 구 역  
소계 4  
16통 1-4 중동1418번지(무등파크101동∼102동)
소계 6  
17통 1-6 중동1418번지(무등파크103동∼105동)
소계 8  
18통 1-8 중동1681번지(태영A101동∼104동)
소계 4  
19통 1 2 3 4 중동129, 308, 123∼1255번지 일원
중동163-1∼1612-8,1658∼1662,1664∼1669번지
중동 하촌마을 일원
중동 신촌마을 일원
소계 5  
20통 1-5 중동1686번지(성호A 101동∼102동)
소계 9  
21통 1-9 중동1686번지(성호A 103동∼105동)
소계 7  
22통 1-7 중동1686번지(성호A 106동∼108동)
소계 8  
23통 1-8 중동1682번지(태영A 201동∼204동)
소계 6  
24통 1-6 중동1663번지(금광A 101동∼104동)
소계 6  
25통 1-6 중동1663번지(금광A 105동∼109동)
소계 6  
26통 1-6 중동1663번지(금광A 110동∼112동)
  관 할 구 역  
소계 6  
27통 1-6 중동1691번지(성호A 101동∼105동)
소계 6  
28통 1-6 마동1019번지(금광블루빌 101동∼106동)
소계 4  
29통 1-4 마동1019번지(금광블루빌 107동∼110동)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0/100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중마동
  • 연락처061-797-3467
  • 최종수정일 2022년 12월 29일
공공누리의 제 4유형[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광양시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광양시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연령대에 맞게 언제든 손쉽게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