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역사

  • 글자크기

광양시는

  • 백제시대에는 마로(馬老), 통일신라시대에는 희양(曦陽), 고려시대부터는 광양(光陽)으로 불려왔는데 "마로"는 우두머리, "희양, 광양"은 따스하게 빛나는 햇살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 지난 1989년 당시 광양군의 일부지역이 동광양시로 분리되었으나, 1995년에 통합을 이루어 도시와 농촌 복합형 도시인 광양시로 새출발 하였으며, 21세기 해양시대를 맞아 동북아시아의 물류거점 항만도시로의 커다란 도약이 기대되는 고장이다.
구석기시대
구석기시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구석기 시대
  • 봉강면 석사리 서석, 옥곡면 대죽리 대치(죽치), 옥룡면 용곡리 흥룡, 죽천리 죽림, 진상면 지원리 창촌마을 유적 등 6개소에서 구석기 시대 유물 확인.
  • 이곳 유물산포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인 찍개(사냥도구), 주먹도끼(사냥도구), 돌날(생활도구) 등 구석기 유물이 발견됨으로서 구석기시대부터 우리고장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음.
  • 문화유적 분포지도(2000.2)
    • 순천대학교 박물관
    • 조선대학교 박물관
      • 구석기시대 조사협조
신석기시대
신석기시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신석기 시대
  • 진월면 오사리 돈탁마을, 진정리 중산마을의 패총터에서 신석기문화를 대표하는 빗살무늬토기편과 동물뼈,패각(貝角)등 신석기시대 유물 확인.
  • 우리고장(한반도, 한민족)의 직접적인 조상인 신석기인들이 광양 고을에 살기 시작한 시기는 BC4000년경으로 추정됨.
    ※ 구석기인들은 네 차례의 빙하기를 겪는 동안 멸종했거나 한반도를 떠났을 가능성이 큼.
  • 光陽郡의 考古遺蹟
  • (이문영, 정진기저. 1993)
  • 광양군의 문화유적
  • (순천대박물관, 1993.3)
  • 2001년도 고교 국사교과서(上)p18, p231
    ※2001년도 고교 국사교과서(上)p18
청동기시대
청동기시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청동기 시대
  • 우리고장에서는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유물인 시체를 매장하였던 지석묘가 현재 43개 군(群)에 272기(基)가 조사되었고 또한 이 시대 유물인 석관묘, 패총, 마제석촉,돌칼, 돌끌, 돌화살촉 등 많은 유물이 발견됨.
    • 광양읍 덕례리 회암마을 : 지석묘, 마제석촉, 패총 등
    • 옥곡면 원월리 원적마을 : 지석묘,석곽형석실 돌칼,
    • 옥곡면 원월리 원적마을 : 돌끌,돌화살촉 등
    • 광양읍 용강리 기두/관동마을 : 지석묘,석곽묘 등
    • 광양읍 용강리 기두/관동마을 : 다수
    • 광양읍 세풍리 해창 유자섬 : 무문토기, 석기편 다수
    • 기타 여러곳에서 청동기시대 유적, 유물출토
  • 전남고고학지명표
  • (최몽룡 저, 1975)
  • 문화유적학술조사보고서
  • (전남대 박물관,1989)
  • 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
  • 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 요약보고서
  • (순천대박물관, 2000.2)
  • 문화유적 분포지도
  • (순천대박물관, 2000.2)
  • 문화유적 분포지도
  • (순천대박물관, 2000.2)
초기철기시대
초기철기시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초기철기 시대
  • 광양읍 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 조사시 초기철기시대 유물인 철기류와 토광묘 발굴
  • 이시대는 주로 돌도끼, 괭이와 나무로 만든 농기구로 땅을 개간하여 곡식을 심었으며 저습지에서 벼농사가 시작됨.
  • 또한 집자리는 대부분 나즈막한 야산을 뒤에 두고 앞에 시냇물이 흐르는 곳에 식수원인 우물을 중심으로 모여 살았음.
  • 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
  • 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요약보고서 (순천대박물관, 2000.2)
  • 2001년 고교국사교과서(上) p23
  • 2001년 고교국사교과서(上) p24
삼한시대
삼한시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삼한시대
  • 우리고장은 마한 또는 변한지역이거나 어느 지역에도 속하지 않는 완충지역 일수 있음.(′83광양군지) 최근년에 마한지역으로 여겨져 왔던 전북남원지역에서 가야국(변한의 다음국가)의 고분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상, p32, 2001년) 옛 권역도에 우리고장이 변한지역으로 되어있고, 변한 지역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어 변한지역일 가능성이 많음.(BC57신라의건국, BC37고구려건국, BC18백제건국)
  • ※ 우리고장이 변한지역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곳
    • 진상면 비촌마을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유적이 있음
    • 옥룡면 내천마을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유적이 있음
    • 골약동 중군리 중군현지(中軍縣址)가 변한의 성지(城址)라는 설이 있음
    • 가야산(伽倻山)이라는 명칭의 산이 있음.
  • 광양군지p169(1983)
  • 가야연맹사 p165(김태식저, 2000.8)
  • 2001년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상) p32
  • ※ 광양군지 p169(1983)
  • 전남도지 제10권 p112 (1956)
300년대
3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369∼370
(근초24-25년)
  • (BC18 : 백제건국)
  • 백제의 세력권에 속함
  • 광양군지 p168
  • 「일본서기」신공기49년,50년조
346~374
(근초고왕대)
  • 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이라 부름
  • 광양군지 p356 (1983)
5세기말
5세기말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5세기말
  • 광양지역이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
  • 광양군지 p172(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00년대
5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513
(무령왕16년)
  • 광양지역이 백제에 다시 속함
  • 광양군지 p172-173(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38
(성왕16년)
  • 백제의 5방중 남방( 南方 : 久知下城 - 현재求禮郡)의 삽평군(삽平郡, 현재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 지역임.
  • 삼국사기지리지(1145)
600년대
6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663
(신라문무3년)
  • (660년 : 백제멸망)
  • 나·당(羅·唐)의 지배하에 들어감
  • 광양군지 p174(1983)
676
(문무왕16년)
  • 신라의 삼국통일로 신라에 속함
  • 광양군지 p174(1983)
700년대
7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757
(경덕왕16)
  •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 마로현(馬老縣)을 희양현(晞陽縣)으로 개칭
    ※ 晞를 曦(희)라고도 씀
    • 武珍州 → 武州, 삽平郡 → 昇平郡
  • 삼국사기 제37권(1145)
  • 광양군지 p176(1983)
    ※ 삼국사절요(1476), 광양군지(1925)
800년대
8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892
(진성여왕6)
  • 후백제 견훤(甄萱)의 휘하에 들어감 (918 : 고려건국)
  • 전라남도지제10권 p99(1993)
  • 지방연혁연구p274(1988)
900년대
9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936
(후 백제신검1년)
  • 고려에 속함
  • 고려사지리지 제57권(1451)
  • 전라남도지제10권 p99(1993)
  • 지방연혁연구p274(1988)
940
(고려태조23년)
  • 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陽縣)으로 고쳐 승평군(昇平郡)의 영현(領縣)으로함
  • 고려사지리지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전라남도지제10권 p99(1993)
  • 광양군지 p356(1983)
983
(성종2년)
  • 전국에 12목(牧)을 두었으며 광양현을 승주목(昇州牧 : 현재, 順天市)관할하에 둠
  • 광양군지 p188(1983)
995
(성종14년)
  • 전국을 10도, 4도호부, 8목, 12주제 실시로 광양 지역은 海陽道(全羅道 지역)에 편제되어 12주중
  • 昇州(현, 順天市)에 소속됨
  • 광양군지(1983)
1000년대
10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1172
(명종2년)
  • 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승평군(昇平郡)에서 분리함.
  • 명종2년(1172년)으로 보임
  • 향.소.부곡 등 특수 행정구역이 모두 광양현 관할로 들어옴
    ※광양군지는 예종3년,1108년에 감무를 둔것으로 기록
  • 대동지지 광양沿革條 (金正浩編, 1864년)
    • 지방연혁연구p274(1988)
      ※광양군지 p344(1983)
고려이전
고려이전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고려 또는 그이전
  • 고려 또는 그이전 지방행정 편제

〈 광 양 현 〉

  • 지역촌 : 일반촌락
  • 특수행정구역 : 鄕(2개소), 所(14개소), 部曲(4개소)
    ※ 향ㆍ소ㆍ부곡의 지명과 현재위치
    • 향(鄕, 2)
      • 本 亭 鄕 : 광양읍 사곡리 본정마을
      • 三日浦鄕 : 여수시 삼일면 신덕리
    • 소(所, 14)
      • 奴乙道所 : 진월면 오사리
      • 蚊 峴 所 : 진월면 송금리
      • 骨 若 所 : 골약동 황길리
      • 車衣浦所 : 진월면 차사리
      • 仇良浦所 : 진월면 신구리
      • 孔 村 所 : 진월면 월길리
      • 多沙川所 : 다압면 도사리(다사)
      • 大 谷 所 : 옥곡면 대죽리(대리)
      • 實 岾 所 : (현위치 불명)
      • 烏 頂 所 : 진월면 오사리(오추)
      • 知巖川所 : 다압면 금천리(직금)
      • 熊 陰 所 : 진상면 황죽리(웅동)
      • 玉 谷 所 : 옥곡면 신금리
      • 孔乙道所 : 진월면 오사리
    • 부곡(部曲, 4)
      • 沙於曲部曲: 광양읍 사곡리
      • 栗川部曲 : 옥룡면 율천리(율곡)
      • 阿民部曲 : (현위치 불명)
      • 阿磨代部曲: 골약동 중군리
  •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광양현고적조(古蹟條)(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광양현고속조(古屬條)(1530)
  • 지방연혁연구p275(1993)
  • 광양군지 p345(1983)
1400년대
14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1413
(태종13년)
  • (1392년 : 조선건국) 광양현의 감무를 고쳐 현감(縣監:종6품)으로 함
  • 전국을 8도, 6부, 5대도호부, 20목 74도호부 73군 154현으로 함
  • 광양현이 행정조직상 승주군의 속현에서 완전히 벗어남
  •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광양현조 (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광양현조(1530)
  • 지방연혁연구p275(1988)
  • 광양군지 p211(1983)
1442년경
(세종24년)
  • 조선초기 광양고을의 지방행정 조직
  • 현감1인(종6품) → 훈도1인(종9품) : 鄕校敎官

육방(六房)

  • 좌수(座首) 1인 : 吏ㆍ兵房업무
  • 별감(別監) 2인
    • 左別監 : 禮ㆍ戶房업무
    • 右別監 : 刑ㆍ工房업무

  • 都監 6인 : 六房실무보좌
  • 別長 1인 : 섬진진의 수군관
  • 통제 (종9품)
  • 세종실록 권47 正月壬戌條(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 권40 광양현 관원조(1530)
  • 대전회통(1865)
  • 광양군지 p347(1983)
1600년대
16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1660
(현종원년)
  • 광양현 전비(「殿」자를 새겨 임금을 상징하는 나무패) 를 잃어버린 일이 있어 읍이 혁파됨
  • 현종실록 제3권p48(1677)
  • 광양군지(1925)
  • 전라남도지 제10권p99(1993)
  • 지방연혁연구p275(1988)
1664
(현종5년)
  • 광양현으로 복구됨(현감:임하유)
  • 광양군지(下)권 선생안조 (1925)
1700년대
17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1759
(영조35년)
  • 광양현이 12面을 관할(面名이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 牛藏面, 沙羅谷面, 骨若面, 玉谷面
    • 津上面, 津下面, 月浦面, 多鴨面, 七星面
    • 仁德面, 內面(며내면), 玉龍面
    • 1759년 기준 광양현 3,560호구, 인구13,440명(남6,100명 여7,340명)
    • 面의 長을 권농관(勸農官)이라 함
  • 여지도서(下)권 광양현 순천진관 방리조 p761(1759)
1789
(정조13년)
  • 광양현이 12面, 147里를 관할함
    • 면수는 1759년과 같으며 沙羅谷面→沙谷面, -骨若面 → 七骨若面으로 표기함
  • 1789년기준 광양현 3,706호구 인구17,586명(남8,102명 여9,484명) 태인동, 금호동, 광영동 지역이 옥곡면에 소속된 사실이 처음 문헌상 나타남.
  • 面단위에 村(마을)이름이 처음 기록됨
    • 面→勸農官, 里→里正, 村→村正, 村長이라 부름
  • 여지도서(下)권 광양현 순천진관 방리조 p761(1759)
1798
(정조22년)
  • 우리고장의 조선중기의 지방 행정조직
  • 현감(「병마절제 도위」를 겸함)

  • 좌수1명, 별감2명, 도감6명
  • (업무분장은 조선초기와 같음)
  • 훈도:폐지, 별장1명(종6품) - 섬진진 수군관할
  • 광양읍지 관직조(1798)
1800년대
18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1869
(고종6년)
  •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광양현의 읍호(邑號)가 강등됨
  • 철종실록,비변사등록,임술록, 일성록,승정원일기
  • 광양군지p268∼272(1983)
1872
(고종9년)
  • 面단위아래 里명칭이 처음으로 문헌상(지도) 나타남
    • 光陽縣 : 12面 147里
  • 다압면 섬진마을에 섬진진(蟾津鎭)이 있었으며 주변에「鎭村」마을이 형성됨.
    • 蟾津鎭 : 別將 종6품1名(縣監 同一品階)
    • 섬진강 동쪽 경남하동군 옛 豆恥津지역 포함
  • 광양현지도 (서울대학교규장각소장, 1872)
  • 광양현 섬진진지도(서울대학교규장각소장, 1872)
1889
(고종26년)
  • (1876 : 강화도 조약)
  •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 일성록 동년9월17일조
  • 비변사등록 제270책
  • 광양군지 p272(1983)
1894
(고종31년)
  • (1894 : 갑오개혁 시작)
  • 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양의 많은 동학교도가 살해됨
    • 섬거역 : 28명 학살(12.10)
    • 각면 : 130여명포살(12.10∼12.11)
    • 남문(聽潮樓)이 좌수영 수병(水兵)의 방화로 소실
  • 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 잡책철 NO1970 「광양현」포착동도성명성책
  • 광양군지 p284∼285 (1983)
1895. 5. 1.
(윤달)
(고종32년)
  • 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
  • 광양현(光陽縣)을 광양군(光陽郡)으로 개칭
    • 남원부(관찰사)관할 광양군(군수)이 됨
  • 칙령제98호(1895.5.26)
1895
(고종32년)
  • 경남 우수영(통영)관할 이었던 다압면 소재 섬진진(蟾津鎭)이 폐쇄되면서 섬진진 관할이었던 경남 하동군 豆恥津지역이 光陽郡지역에 속함
    • 光陽郡 多鴨面 蟾津里
  • 광양군지 p895(1983)
  • 하동군사 p183(1978)
1895. 9. 5.
(고종32년)
  • 面, 結, 戶수의 다소에 따라 각군의 등급을 정하면서 광양군은 4등군이 됨
  • 칙령제164호(1895.9.5)
  • 광양군지 p348(1983)
1896. 2. 3.
(건양1년)
  • 突山郡이 신설되면서 광양군에 속했던 9개 도서가 돌산군으로 넘어가면서 면(北面:신설)이 됨.
    • 太仁島, 金島, 吉島, 苗島(描島), 飛雲島, 三干島(三化島, 三和島), 松島, 勒島, 獐島
  • 칙령제13호(1896.2.3)
  • 전남읍면편람 p130(전남도, 1985)
  • 광양군지 p348(1983)
  • 여수ㆍ여천향토지p155-156 (1982)
1896. 8. 4.
(건양1년)
  • 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道制가 실시됨에 따라 全羅南道 光陽郡(4등군)이 됨
  • 전국13도(관찰사), 한성부(판윤:서울), 7부 (부사), 1목(목사:제주), 331군(군수) 인덕면(현, 광양읍)덕례리 일부가 승주군(현, 순천시) 해룡면에 편입
  • 칙령제36호(1896.6.25)
  • 광양군지 p349(1983)
  • 전남도지제10권 p100(1993)
  • 광양군지 p349(1983)
  • 광양시통계연보p35(2000)
1899
(광무3년)
  • 태인도 등 9개 도서로 된 돌산군 북면이 돌산군 태인면(太仁面)으로 개칭.
  • 여수ㆍ여천향토지(1982)
  • 여산군지(1899)
1900년대
1900년대의 내용과 전거를 제공하며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의 순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대(年代) 내용(內容) 전거(典據)
1912
  • 왜정시대 행정개편 이전 광양지역 각面과 관할里
    • 면 : 12면, 리 ; 226리
    • 군청 : 우장면 성내리(城內里)
  • ※ 12개 面名
    • 牛藏面, 仁德面, 七星面, 鳳岡面, 玉龍面, 骨若面, 紗谷面, 玉谷面, 津上面, 津下面, 月浦面, 多鴨面
  •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
  • 광양군지 p349(1983)
1914. 3. 1.
  • 순천군 西面 鶴洞里 일부가 광양군 鳳岡面 石社里에 편입
  • 光陽郡 仁德面 東池里 일부가 順天郡 海龍面 福星里에 편입
  • 순천군 龍頭面 智峰里 일부를 광양군 仁德面 德禮里에 편입.
  • 순천군 龍頭面 山頭里 鳳栖里 의 각 일부를 광양군 仁德面 世豊里에 편입
  • 突山郡 太仁面의 여러도서를 다시 光陽郡 骨若面으로 편입(돌산군 폐지)
    • 돌산군 태인면 吉島 → 광양군 골약면 中洞里
    • 돌산군 태인면 小勒島, 勒島, 獐島, 松島 → 광양군 골약면 松獐里
    • 돌산군 태인면 三化島, 飛雲島, 金島 → 광양군 골약면 金湖里
    • 돌산군 태인면 墻內里, 龍址里, 道村 → 광양군 골약면 太仁里
  • ※ 苗島(描島)는 麗水郡 三日面 描島里로 남게됨
  • 총독부 부령제111호 (1913.12.29) 「도의위치, 관할구역 및 부군명칭, 위치 관할구역」
  • 지방연혁연구p97∼98(1988)
1914. 4. 1.
  • 왜정시대 행정개편이후 광양지역 각面과 관할里
    • 면 : 9면(←12면)
    • 동리 : 70리(←266리)
    • 군청 : 광양면 읍내리
  • ※ 9개 面名
    • 光陽面 鳳岡面, 仁德面, 玉龍面, 骨若面, 玉谷面, 津上面, 多鴨面, 津月面, 牛藏面, 七星面, 紗谷面이 통합하여 光陽面이 됨
    • 津下面과 月浦面이 통합하여 津月面이 됨
  • 총독부 부령제111호(1913.12.29)
  • 조선면리동일람(1917)
  • 전라남도지(1993)
  • 지방연혁연구(1988)
1915. 1. 1.
  • 광양군 섬진강 동쪽의 다압면 섬진리 일부(옛豆恥津 현 경남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 만지마을)를 경상남도 河東郡에 넘겨줌.
    • 섬진강 서쪽의 다압면 섬진리 잔여 지역은 다압면道士里에 편입됨.
    • 섬진리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이전 광양군 관할 里
  • 총독부부령제173호(1914.12.22)
  • 전라남도지제10권p100(1993)
  • 지방연혁연구p276(1988)
  • 지방행정구역요람 p605(내무부, 1980)
  • ※광양군지p354(1983)
    • 하동군사p183(1978)
1925. 4. 1.
  • 인덕면(仁德面)이 광양면(光陽面)에 편입됨
  • (광양군 - 8면 관할)
  • (1945.8.15 : 해방)
  • 지방행정구역요람 p605 (내무부, 1980)
  • 지방연혁연구p276(1988)
  • 전라남도지제10권p100(1993)
  • 광양군지p354(1983)
1948
  • (1948.10.19 : 14연대 반란사건)
  • 여수, 순천지역에서 많은 官民이 학살되고 이재민, 재산상 피해가 많았음.
  • 광양지역은 한때 광양군청과 경찰서가 점령 되었으나 곧 수복되었으며 백운산으로 잠입한 반군에 의해 봉강, 옥룡, 옥곡, 진상,다압면 일대에 피해가 컷음.
  • 광양군지(1983)
1949. 8. 14.
  • 광양면이 광양읍으로 승격 (광양군 - 1읍7면 관할)
  • 대통령령 제162호(1949.8.13)
  • 전라남도지제10권p101(1993)
  • 지방연혁연구p276(1988)
1950∼1953
  • (1950 6.25동란 발발)
  • 6.25동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되고 이재민과 재산상 피해가 극심했음.
  • 광양군지(1983)
1966. 6. 1.
  • 주민편의를 위해 골약면 太仁里, 金湖里를 관할하는 光陽郡 骨若面 太仁出張所 설치.
  • 광양군조례제205호(1966.6.1)
  • 전라남도지제10권p104(1993)
  • 광양군지p354(1983)
1973. 7. 1.
  • 골약면 松獐里가 麗川郡 栗村面에 편입
  • 대통령령 제6542호(1973.3.12)
  • 지방연혁연구p276(1988)
  • 전라남도지제10권p105(1993)
  • 광양군지 p355(1983)
1974. 11. 1.
  • 골약면 태인출장소(태인리, 금호리관할)에서 면단위 전반 업무수행
  • 광양군조례 제374호 (1974.10.19)
1983. 2. 15.
  • 광양군 골약면 태인출장소가 광양군 太金面으로 승격(광양군 - 1읍8면 관할)
  • 옥룡면 雲谷里 일부(桂谷마을)가 광양읍 牛山里에 편입됨
  • 진월면 眞亭里 일부(三亭마을)가 진상면 靑岩里에 편입됨
  • 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 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 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1986. 1. 1.
  • 골약면, 태금면, 옥곡면 광영리를 관할하는 全羅南道 光陽地區出張所 설치.
  • 전라남도조례 제1554호(1985.12.30)
1987. 1. 1.
  • 승주군 해룡면 福星里 일부(朱領마을)가 광양읍 德禮里 朱領마을에 편입
  • 봉강면 지곡리 일부 (普雲마을과 牛頭마을일부)가 광양읍 구산리 新基마을에 편입
  •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옥곡면 광영리가 同출장소 골약면에 편입.
  • 여천시 묘도동 일부(智進島:쥐섬, 지새미)가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태금면에 편입.
  • 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 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 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 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1987. 1. 1.
  • 1987.1.1기준 光陽郡. 全羅南道 光陽地區出張所 행정구역 일람
    • 광양군
      • 行政區域 : 1邑, 6面, 59법정리, 168행정리 235자연
      • 마을, 375반, 74,484인
      • 所 在 地 : 光陽邑 七星里 70
    •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 行政區域 : 2面, 10법정리, 34행정리 48자연
      • 마을, 87반, 37,308인
      • 所 在 地 : 太金面 金湖里 615
    • 행정구역 총괄
      • 行政區域 : 1邑, 8面, 69법정리, 202행정리 283자연
      • 마을, 462반, 111,792인
  • 광양군 통계연보p39∼44(1988)
  •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통계연보 p33-34(1988)
  • 지방연혁연구p281∼286(1988)
  • 광양군 마을유래지 (1988)
1989. 1. 1.
  •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가 東光陽市로 승격.
  • 동광양시 동의 명칭 및 관할구역 설정.
    • 10개 법정동
      • 황금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황금리일원
      • 황길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황길리일원
      • 도이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도이리일원
      • 성황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성황리일원
      • 중군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중군리일원
      • 중 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중동리일원
      • 마 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마동리일원
      • 광영동 : 종전의 광양군 골약면 광영리일원
      • 금호동 : 종전의 광양군 태금면 금호리일원
      • 태인동 : 종전의 광양군 태금면 태인리일원
  • 동광양시 행정운영동 설치
    • 7개 행정동
      • 황금동 : 황금동, 황길동 일원
      • 성황동 : 성황동, 도이동, 중군동 일원
      • 중마동 : 중동, 마동일원
      • 광영동 : 광영동 일원
      • 금호동 : 금호동337-1, 337-2, 384-1, 672-695,
      • 금호동 : 701-702, 705-717, 717-1-784, 786, 산1,
      • 금호동 : 산2-산3, 산12-산87번지 일원
      • 금당동 : 금호동564-1, 569-1, 570-1, 571-1, 572-2,
      • 금당동 : 572-1, 577,577-1, 577-4, 578-1, 582-584,
      • 금당동 : 619-671, 696-700, 703-704, 785, 787-789,
      • 금당동 : 산1-1, 산1-4, 산101-27, 산127-1,
      • 금호동 : 산130번지 일원
    • ※ 동광양시 : 7행정동, 10법정동, 76통299반 관할
  • 법률 제4050호 (1988.12.31)
  • 동광양시조례 제88호(1989.1.1) 「東光陽市 洞의名稱 및 管轄區域에 관한 條例」
  • 동광양시조례 제89호 (1989.1.1) 「東光陽市 行政運營洞의 設置 및 洞長定數條例」
1995. 1. 1.
  • 동광양시, 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 복합형태의 光陽市설치.
  • ※ 광양시 : 1읍6면 7행정동, 10법정동.
  • 법률 제 4801호(1994.12.22)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에 따른행정특례등에 관한 법률」
  • 광양시조례 제40호 (1995.1.4)
    「광양시행정운영 동의 설치및 동장정수조례」
  • 광양시조례 제138호 (1995.1.4)
    「광양시 동리의명 칭과 관할구역에관한 조례」
1998. 11. 5.
∼현재
  • 광양시 과소동 통폐합으로 황금동ㆍ성황동을 골약동으로, 금호동ㆍ금당동을 금호동으로 통폐합
  • ※ 2018.9.27. 현재
    • 광양시 : 1읍6면 10법정동 5행정동 59법정리
    • 광양시 : 203행정리 126통 1,232반
    • 광양시청 : 광양시 시청로 33번지(중동 1313번지)
  • 광양시조례 제339호(1998.11.5)
    「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규칙 제269호 (1999.11.9)
    「광양시 이통반 설치조례 시행규칙중 개정규칙」
  • ※광양시조례 제468호 (2001.5.16)
    「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468호 (2001.5.16)
    「광양시 이통반 설치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1353호 (2015.9.23)
    「광양시 행정동·리 및 하부조직 설치에 관한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 조례 제1463호(2016.11.14.)
    「광양시 행정동·리 및 하부조직 설치에 관한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 조례 제1506호(2017.7.5.)
    「광양시 행정동·리 및 하부조직 설치에 관한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 조례 제1565호(2018.1.24.)
    「광양시 행정동·리 및 하부조직 설치에 관한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 조례 제1589호(2018.9.27.)
    「광양시 행정동·리 및 하부조직 설치에 관한 조례중 개정조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0/100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총무과
  • 연락처061-797-2727
  • 최종수정일 2023년 10월 12일
공공누리의 제 4유형[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광양시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광양시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연령대에 맞게 언제든 손쉽게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