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금호동

  • 글자크기

지명유래

  • 금호(金湖)의 옛 지명이 문헌에 처음 나타난 것은 서기 1530년에 편찬된 신증동 국여지승람에 우도(牛島)라고 기록되어 전하며, 서기 1740년경에 제작된 해동지도에도 우도(牛島)라고 표기되었고, 서기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 제6책 전라도편에는 옥곡면에 속하여 우도촌(牛島村)이라 하여 고을명이 기록되어 전함.
  • 그 이후 서기 1872년에 제작된 광양현지도에 금도(金島)라고 표기되고, 서기 1899년에 편찬된 돌산군지 설명편에 금도(金島) 또는 금호(金湖)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음. 한편 우도(牛島)가 금도(金島)가 된 것은 본디 토박이말로‘소섬’이라고 부르던 섬을 한자로 빌려 쓸 때 우도(牛島)라 했고, ‘소’는 쇠가 되어 ‘금(金)’자로 표기하여 금도(金島)라 한 것으로 생각됨.
  • 또한 금호도(金湖島)라고도 쓰는데 섬이라고 하지만 광양만 안쪽에 있어서 바다를 호수로 보고 ‘금호도(金湖島)’라고 멋을 부려 쓴 것으로 보이며 태인도(太仁島)를 인호도(仁湖島), 길도(吉島)를 길호도(吉湖島)로 쓴 것도 같은 맥락에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됨.
  • 이와같이 금호동(金湖洞)을‘쇠섬. 금도(金島). 금호도(金湖島)’등으로 불러 왔는데 현재 이곳 광활한 바다위에 대규모 제철소가 들어서서 철을 생산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옛 선인들이 마을이름을 지은 선견(先見)은 우리 후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음.

연혁

연혁안내로 年代, 內 容, 典 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선사시대 · 금호동 지역은 현재 선사시대의 유적, 유 물이 발견되지 않고있으나 인근 중마동과 옥 곡면지역에서 선사시대 유물이 출토되고 있 어 이 고장에서도 선사시대에 사람이 살았을 가능성이 많음. · 동광양시의 선사유적
  (이영문저, 1989)
· 동광양시 문화유적 학술조사보고서
  (전남대 박물관, 1989)
· 문화유적분포지도
   (순천대 박물관, 2000)
삼한시대 · 금호동은 삼한시대에 마한 또는 변한지역이거 나 어느지역에도 속하지않은 완충지역 일 수 있음. ('83광양군지)
· 최근년에는 금호동 지역이 변한지역 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음.
※인근지역에 가야산(伽倻山) 이라는 명칭의 산 이 있으며 골약동 군재마을과 진상면 비촌마을 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유적이있음.
· 광양군지 p169(1983)
· 가야연맹사 p165 (김태식저, 2000)
· 2001년도 고교국사교과서 (상) p32
※광양군지 p169(1983)

369∼370
(근초24-25년)
(BC18년 : 백제 건국)
· 백제의 세력권에 속함
· 광양군지 p168(1983)
· 「일본서기」신공기49년조,50년조
346∼374
(근초고왕대)
· 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광양군지 p356(1983)
5세기말경 ·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 · 광양군지 p172(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13
(무령왕13년)
· 백제에 다시 속함 · 광양군지 p173(1983)
538
(성왕16년)
· 백제의 5방중 남방(南方:久知下城,현재求禮郡) 의 삽평군(?平郡. 현재, 順天市)에속한 마로현 (馬老縣)지역임 · 삼국사기지리지 (1145))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663 (660년 : 백제멸망)
· 나ㆍ당(羅ㆍ唐)의 지배하에 들어감
· 광양군지 p174(1983)
676
(문무왕16년)
· 신라의 삼국통일로 신라에 속함. · 광양군지 p174(1983)
687
(문무왕7년)
· 통일신라시대 9주 5소경 설치로 무진주(武珍州 : 현재 光州)의 삽평군(?平郡 :현재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삼국사기 제37권(1145)
· 광양군지 p176(1983)
757
(경덕왕16년)
·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 마로현(馬老縣)을 희양현(晞陽縣)으로 개칭함에 따라 금호동이 희양현(晞陽縣)지역이 됨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892
(진성여왕6년)
· 후백제 견훤(甄萱)의 휘하에 들어감 · 전라남도지제10권p99(1993)
· 지방연혁연구 p274(1988)
936
(후백제 신검1년)
(918년 : 고려건국)
· 고려에 속함
· 고려사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p274(1988)
940
(고려태조 23년)
· 고려태조 23년에 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 陽縣)으로 개칭하고 승평군(昇平郡:현,順天市) 의 영현(領縣)이 됨으로서 금호동 지역이 光陽縣 에속함. · 고려사 제57권(1451)
· 광양군지 p356(1983)
1172
(명종2년)
 
· 광양현이 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승평군(昇平郡, 현順天市)의 속현에서 벗어남에 따라 금호동 지역이 처음으로 우리 고장에 파견된 중앙관리의 감독, 지배를 받음.
· 고려 명종2년(1172년)으로 추정
※'83년 광양군지는 예종3년(1108)에 감무를 둔것 으로 기록함.
· 대동지지 광양현 연혁조
  (김정호 저 : 1864)
· 지방연혁연구 p274 (1988)
※광양군지p344(198

1413
(조선태종 13년)
 
(1392년 : 조선건국)
· 광양현의 감무(監務)를 고쳐 현감(縣監)을 둠 에따라 금호동 지역이 처음으로 우리고장에 부임한 현감의 감독, 지배를 받음.
· 광양현이 행정직제상 승주군(현, 순천시)의 속현에서 완전히 벗어남.
·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광양현조(1451)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광양현조(1530)
· 지방연혁연구p275(1988
1530
(중종25년)
· 금호동(금호도) 옛 지명이 처음으로 국가주요 문헌에 기록됨. →「 牛島」라고함. · 신증동국여지승람제40권 (1530)

1597
(선조30년)
(1592년 : 임진왜란)
· 왜구에 의해 광양읍성이 함락됨으로서 금호동 지역이 왜구의 점령하에 들어감.
· 대동지지 광양현 典古條
  (金正浩編, 1864)
1597.12
(선조30년)
· 광양읍성 탈환으로 금호동지역이 왜병의 만행 에서 벗어남.
· 아군측 : 전라병사 이광악, 구례현감 이응서
· 적군측 : 왜교성 수장 소서행장
· 임진전란사
  p723 p1063∼1065, p1083∼1085
· 선조실록 권95(1609)
· 난중잡록권3, 정유12월조 (1618)
· 광양군지 p241(1983)
1598
(선조31년)
 
· 전란으로 광양고을 폐허. 광양현이 순천도호부 진영에 일시 편입됨으로서 금호동지역이 순천 도호부에 소속됨. (곧 광양현으로 복구되었으나 연대미상) · 국역신증동국여지승람Ⅴ권
  광양현 연혁조(1530)
· 전라남도지제10권p99(1993)
· 지방연혁연구p275(1988)
1789
(정조13년)
· 금호동 지역이 玉谷面에 속하여 「牛島村」 이라고 함.
· 村의 長을 村正 또는 村長이라 부름
· 호구총수 제6책 전라도편 (1789)
1861
(철종12년)
· 금호동(금호도)지역을 牛島 또는 金島라고 함 · 명례궁 수세절목(1861)
· 대동여지도(1864)
1869
(고종6년)
·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광양현의 읍호가 강등됨 · 철종실록,비변사등록,임술록
· 광양군지p268-272(1983)
1889
(고종26년)
(1876년 : 강화도 조약)
·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 일성록 동년9월17일조
· 비변사등록 제270책
· 광양군지 p272(1983)

1894
(고종31년)
 
(1894년 : 갑오개혁 시작)
· 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 양의 많은 동학교도가 살해됨.
· 섬 거 역 : 28명 학살(12.10)
· 각 면 : 130여명 포살(12.8∼12.11)
· 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 잡책철
  NO1970「광양현 포착동도성명성책」
· 광양군지p284-285(1983)
1895. 5.1
(윤달)
(고종32년)
· 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하면서 광양현(光陽縣)을 광양군(光陽郡)으로 개칭. · 금호동지역은 남원부(南原府) 光陽郡 玉谷面 관할이 됨 · 칙령제98호(1895.5.26)
· 광양군지 p348(1983)
1896. 2.3
(건양1년)
· 突山郡이 신설되면서 광양군에 속했던 여러 도서가 돌산군으로 넘어가 북면(北面:신설) 이됨.
· 광양군 옥곡면에 속한 금호동지역의 여러섬이 돌산군으로 넘어가 북면에 속함. · 金島, 羊島, 金塘島, 小堂島, 飛雲島, 三和島
· 칙령제13호(1896.2.3)
· 전남읍면편람 p130 (1985)
· 여수,여천향토지p155-156 (1982)
· 광양군지 p348(1983)
1899 · 여산(돌산)군지에 의하면 금호동(금호도) 지역을 金島 또는 금호도(金湖島)라 함
※금도(金島)는 섬이지만 내만(內灣)에 위치하 여 바다를 호수로 보고 금호도(金湖島)라 부른 것으로 추정됨(참고 ; 太仁島→仁湖島)
· 여산군지(1899)
· 태인도와 금호도 (1993)
1899 · 돌산군 북면(北面)에 속한 태인도 등 9개도서 가 돌산군 太仁面이 되어 金島(金湖島)등 금호동 지역이 돌산군 태인면에 속함. · 金島, 羊島, 金塘島, 小堂島, 飛雲島, 三和島 · 여산군지(1899년)
· 태인도와금호도(1993년)
· 여수·여천향토지 p156 (1982년)
· 전남읍면편람 p130(1985년)
1912

(1905년 : 을사보호조약 체결) (1910년 : 한일합방)
· 왜정시대 행정개편 이전 돌산군 태인면의 관할리
· 突山郡太仁面 : 8개里
?獐島, 松島, 猫島, 道村里, 墻內里, 龍址里, 金島, 吉島

·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1912년)
· 지방연혁연구 p159 (1988년)
1914. 3.1 · 돌산군이 폐지되고 태인면의 여러도서를 다시 광양군 골약면으로 편입
· 돌산군 태인면 金島, 三和島, 飛雲島, 羊島, 全塘島, 小堂島 → 광양군 골약면 金湖里
※苗島(描島)는 麗水郡 三日面 描島里로 남게됨
· 총독부 부령 제111호 (1913.12.29)
「도의위치, 관할구역 및 부군명칭, 위치 관할구역」
· 지방연혁연구p159(1988년)
1950 ∼1953 (1945. 8.15 : 해방) (1948.10.19 : 14연대 반란사건) (1950.06.25 : 6.25동란)
· 6.25동란으로 많은사람이 살상되고 이재민과 재산상 피해가 극심했음..
· 광양군지p340-341(1983년)
1966. 6.1 · 주민 편의를 위해 골약면 太仁里, 金湖里를 관할하는 光陽郡 骨若面 太仁出張所 설치로 금도동지역이 同 出張所에 소속됨 · 광양군조례 제205호 (1966.6.1)
1974. 11.1 · 골약면 태인출장소(태인리, 금호리 관할)에서 면단위 전반 업무수행 · 광양군조례 제374호 (1974.10.19)
1983. 2.15 · 광양군 골약면 태인출장소가 광양군 太金面 으로 승격됨에 따라 금호동지역은 태금면 관할 금호리(金湖里)가됨 ·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1.10)
연혁안내로 年代, 內 容, 典 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1986. 1.1 · 골약면, 태금면, 옥곡면 광영리를 관할하는 全羅南道 光陽地區出張所 설치로 금호동지역은 전라남도 광양지구 출장소 태금면에 속함.
(1987.1.1 : 옥곡면 광영리가 同出張所 골약면에편입)
· 전라남도조례 제1554호 (1985.12.30)
1987. 1.1 · 1987.1.1 기준 금호동 지역 행정구역 · 동광양시통계연보(1988)
· 지방연혁연구 p286 (1988)
· 마을유래지p677(1988)
소속 법정리 행정리 자연마을 반수 인구 비고
1 4 3 7 9,638  
태금면 금호리 도촌리 내동리 대동리 장미연립 도촌 내동 대동 2221 293 3,918  
5,427
1989. 1.1 · 전라남도 광양지구 출장소가 東光陽市로 승격 되고 동광양시 洞의 명칭 및 관할구역이 설정됨
· 東光陽市 : 10法定洞 7行政洞
· 금호동 지역은 법정동으로는 종전의 광양군 태금면 금호리 일원을 금호동(金湖洞)이라하고, 행정동은 금호동(金湖洞) 금당동(金塘洞) 2 개 동이 됨
· 법률 제4050호 (1988.12.31)
· 동광양시조례 제88호 (1989.1.1)
「동광양시 동의 名稱및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 동광양시조례 제89호 (1989.1.1)
「동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및 동장정수 조례」
1995. 1.1 · 동광양시, 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복합 형태의 光陽市 설치.
· 光陽市 : 1읍6면, 10법정동, 7행정동
· 금호동지역은 광양시 금호동, 금당동이 됨
· 법률 제4810호(1994.12.22)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에 따 른 행정특례등에 관한법률」
· 광양시조례 제40호(1995.1.4)
· 광양시조례 제138호 (1995.1.4)
연혁안내로 年代, 內 容, 典 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1998. 11.25

현재
· 광양시 과소동 통폐합으로 金湖洞, 金塘洞을 金湖洞으로 통폐합
· 光陽市 金湖洞 · 2001.12.30 현재 금호동 행정구역 일람.
· 행정구역 : 광양시 금호동 1통∼19통 일원
· 소 재 지 : 광양시 금호동 624-9
· 광양시조례 제339호 (1998.11.5)
「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 정 수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404호 (1999.11.9)
「광양시 동리 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 한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 조례 제468호 (2001. 5. 16)
「광양시 이통반 설치 조례 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통반설치조 례시행규칙 중 개정규칙 제269호(1999.11.9)
· 광양시 조례 제1969호 (2022. 12. 30)
「광양시 행정동·리 및 하부조직 설치에 관한 조례」
관 할 구 역  
계(19) 273    
소계 14    
1통 1 2-14 금호동 712번지(동백아파트 7동) 709번지 동백독신료  
금호동 712번지(동백아파트 1-6동, 8-14동)  
소계 21    
2통 1-21 금호동 684번지(목련빌라1동∼21동)  
소계 18    
3통 1-18 금호동 684번지(목련빌라22동∼39동)  
소계 20    
4통 1 금호동 728, 733-736, 739-741, 743, 745(장미연립 1-4동)번지  
  2-3 금호동 728번지(장미연립5동∼6동)  
  4-7 금호동 727번지(장미연립7동∼10동)  
  8-11 금호동 725번지(장미연립11동∼14동)  
  12-18 금호동 724번지(장미아파트 1동∼7동)  
  19-20 금호동 725번지(장미아파트 8동∼9동)  
소계 17    
5통 1-17 금호동 725번지(장미아파트 10동∼26동)  
소계 18    
6통 1-18 금호동 717번지(목련연립 1동∼18동)  
소계 20    
7통 1-20 금호동 717번지(목련연립 19동∼38동)  
소계 7    
8통 1-6 7 금호동 704번지(백운생활관 1동∼6동)  
금호동 696번지(백운프라자, 제철소본부 및 공장)일원  
소계 14    
9통 1-13 금호동 624-1번지(백합아파트 1동∼13동)  
14 금호동 624-1번지(백합아파트 14동)  
  금호동 624-4번지(구, 조대부속 광양병원)일원  
소계 18    
10통 1-18 금호동 624-1번지(백합아파트 15동∼32동)  
소계 18    
11통 1-18 금호동 624-1번지(백합아파트 33동∼50동)  
소계 12    
12통 1 금호동 624-7번지(매화아파트 1동),  
  금호동 624번지(재활용센터, 협력회관)일원  
2-12 금호동 624-7번지(매화아파트 2동∼12동)  
소계 10    
13통 1-10 금호동 624-7번지(매화아파트 14동∼24동)  
소계 14    
14통 1-14 금호동 624-13번지(사랑아파트 1동∼5동)  
소계 14    
15통 1-14 금호동 624-13번지(사랑아파트 6동∼9동)  
소계 14    
16통 1-13 금호동 624-13번지(사랑아파트 10동∼12동 13층∼16층)  
14 금호동 624-13번지(사랑아파트 12동 17∼19층, 한성카센타)일원  
소계 12    
17통 1-12 금호동 825번지(초원아파트 1동∼12동)  
소계 10    
18통 1-9 금호동 826번지(송죽아파트 1동∼3동 7∼9층)  
10 금호동 826번지(송죽아파트 3동 10∼12층)  
  금호동 812번지(농어촌진흥공사 첨단농업광양사업소)일원  
소계 2    
19통 1-2 희망길 12-7(기가타운 A동~B동)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0/100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금호동
  • 연락처061-797-4871
  • 최종수정일 2023년 03월 31일
공공누리의 제 4유형[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광양시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광양시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연령대에 맞게 언제든 손쉽게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