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Gwangyang
55,29㎢ (전 2,84 답 10,52 임야 24,31 대지 3,54 기타 14,08) - 광양시의 11.9%
광양읍은 광양시 남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동부와 서부는 구릉성산지를 이루고, 서쪽으로 순천과 연접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광양만에 접하고 있는 도농 복합도시로 주거, 문화, 교육, 상업 등의 역할수행 및 일조량이 풍부한 빛의 도시로 환경친화적인 지역임. 주변에는 국사봉(532m), 내우산(246m), 서산(253m)등이 솟아 있고, 북부의 봉강면과 옥룡면에서 각각 흘러든 서천과 동천이 도월리에서 합류하여 광양만으로 유입되며, 이들 하천 유역과 서남해안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되어 있음.
구분 | 세대수 | 인구수 | 비고 | ||
---|---|---|---|---|---|
계 | 남 | 여 | |||
2018. 12. 31. 기준 | 21,031 | 50,844 | 25,758 | 25,086 |
법정리 | 행정리 | 자연마을 | 반 |
---|---|---|---|
15 | 68 | 54 | 324 |
(단위 : 호, ha)
경 지 면 적 | 농가수(호) | 호 당 경지면적 | 비고 | |||
---|---|---|---|---|---|---|
계 | 전 | 답 | 기타 | |||
1,425 | 359 | 1,019 | 47 | 3,627 | 0.39 |
(단위 : ha)
합 계 | 국유림 | 사유림 |
---|---|---|
2,485 | 97 | 2,388 |
(단위 : 가구, ha)
구 분 | 계 | 애호박 | 깻 잎 | 오 이 | 방울토마토 (토마토포함) |
기타 | 비고 |
---|---|---|---|---|---|---|---|
재배농가 | 189 | 71 | 31 | 9 | 55 | 23 | |
면 적 | 70 | 21 | 14 | 3 | 18 | 14 |
계 | 대학교 | 고등학교 | 중학교 | 초등학교 | 비고 |
---|---|---|---|---|---|
15 | 2 | 3 | 2 | 8 |
구 분 | 소 재 지 | 면 적(㎡) | 장날 |
---|---|---|---|
5일시장 | 광양읍 시장길 26-4 | 10,195 | 1, 6 |
상설시장 | 광양읍 읍성3길 11 | 4,545 | 매일 |
年代 | 內 容 | 典 據 |
---|---|---|
청동기시대 | · 광양읍 지역에서 구석기, 신석기시대의 유적이 발견되지 않고 있으나 인근 봉강면 석사리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인 돌석기(사냥도구)가 발견되 고 있어 광양읍 지역도 앞으로 구석기, 신석기 유물이 발견될 가능성이 있음 · 청동기시대 유물로는 그당시 시체를 매장하 였던 지석묘, 생활도구인 무문토기편, 마제석 촉, 석검, 생활의 흔적인 패총더미 등이 발견 되고 있어 청동기시대에 이고장의 여러지역 에서 사람이 살았음 · 광양읍 덕례리 예구, 회암마을 : 지석묘, 마제석촉, 패총, 화살촉, 무문토기, 석검등 · 광양읍 용강리 기두, 관동, 와룡마을 :지석묘, 석곽묘등 다수 · 광양읍 세풍리 해창유자섬 : 점토대토기, 무문토기등 · 기타 여러곳에서 청동기시대 유적ㆍ유물출토 |
· 전남고고학지명표 (최몽룡, 1975) · 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보고서 (순천대박물관, 2000.3) · 문화유적 분포지도 (순천대박물관, 2000.2) · 문화유적 분포지도 (순천대박물관, 2000.2) |
초기철기시대 | · 광양읍 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 발굴조 사에서 초기 철기시대 유물인 철기류와 토광 묘가 발굴됨. · 이시대는 주로 돌도끼, 괭이와 나무로 만든 농기구로 땅을 개간하여 곡식을 심었으며 저 습지에서 벼농사가 시작됨. · 또한 집자리는 대부분 나즈막한 야산을 뒤에 두고 앞에 시냇물이 흐르는 곳에 식수원인 우 물을 중심으로 모여 살았음. |
· 광양읍용강리 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요약보고서 (순천대박물관, 2000.3) · 2001년 고교국사교과서(上) p23 · 2001년 고교국사교과서(上) p24 |
삼한시대 | · 광양읍지역이 삼한시대에 마한 또는 변한지역 이거나 그당시 어느지역에도 속하지 않는 완충지역 일수있음. ('83광양군지) · 근년에는 광양읍이 변한지역 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음. |
· 광양군지 p169(1983년) · 가야연맹사 (p165, 김태식저, 2000년) · 2001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상) p32 |
369∼370 (근초24-25년) 346∼374 (근초고왕대) 5세기말 513 (무령왕13년) |
(BC18년 : 백제건국) · 백제의 세력권에 속함 · 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 · 백제에 다시 속함 |
· 광양군지 p168(1983) · 「일본서기」신공기49년조,50년조 · 광양군지 p356(1983) · 광양군지 p172(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 광양군지 p172-173(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
538 (성왕16년) |
· 백제의 5방중 남방(南方:久知下城,현재求禮郡) 의 · 平郡(삽평군, 현재順天市)에속한 마로현 (馬老縣)지역임 | · 삼국사기지리지(1145) |
663 (신라문무3년) 676 (문무왕16년) 687 (신문왕7년) |
(660년 : 백제멸망) · 나ㆍ당(羅ㆍ唐)의 지배하에 들어감 · 신라의 삼국통일로 신라에 속함 · 통일신라시대 9주 5소경 설치로 광양읍은 무진주(武珍州 : 현재光州直轄市)의· 平郡(삽 평군:현재 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 지역임. |
· 광양군지 p174(1983) · 광양군지 p174(1983) · 삼국사기(1145) |
757 (경덕왕16) |
·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 마로현(馬老縣)을 희양현(晞陽縣)으로 개칭함에 따라 광양읍은 희양현 지역이 됨. ※晞를 曦(희)라고도 씀 |
· 삼국사기(1145)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삼국사절요(1476) · 광양군지(1925) |
892 (진성여왕6년) |
· 후백제 견훤(甄萱)의 휘하에 들어감 (918년 : 고려건국) |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936 (후백제 신검1년 |
· 고려에 속함 | · 고려사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고려 또는 그이전) | · 고려 또는 그이전 지방행정 편제 〈 광 양 현 〉 · 지역촌 · 향(2개소), 소(14개소), 부곡(4개소) 〈 광양읍 지역 〉 · 지역촌 · 향(1개소), 부곡(1개소) ※향ㆍ부곡 현재의 위치 · 本 亭 鄕 : 광양읍 사곡리 본정마을 · 沙於谷部曲 : 광양읍 사곡리 |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지방연혁연구p275(1988) · 광양군지 p345(1983) |
940 (고려태조 23년) |
· 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陽縣)으로 개칭 (改稱) 하여 승평군(昇平郡 : 현재순천시)의 영현(領縣)으로 함에따라 광양현 지역이 됨 |
· 고려사 제57권(1454)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광양군지 p356(1983) |
1172 (명종2년) |
· 광양현이 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승평군(昇平郡)에서 분리되어 광양읍 지역에 최초로 중앙행정관리가 부임하게 됨 · 명종2년(1172년)으로 추정 ※광양군지는 예종3년, 1108년에 감무를 둔것 으로 기록함 | · 대동지지 광양연현조 (김정호저, 1864) · 지방연혁연구p274(1988) ※광양군지p347(1983) |
1413 | (1392년 : 조선건국) · 광양현의 감무(監務)를고쳐 현감(縣監:종6품) 으로 함에따라 광양읍에 처음으로 현감이 부임함. |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광양군지 p211(1983) · 지방연혁연구p275(1988) |
1597 (선조30년) |
(1592년 : 임진왜란) · 왜구에 의해 광양읍성이 함락됨으로서 광양읍 지역이 왜구의 점령하에 들어감 |
· 대동지지 광양현 典古條 (金正浩編, 1864년) |
1597.12 (선조30년) |
· 광양읍에 위치한 광양읍성 탈환, 왜병의 만행봉쇄 · 아군측 : 전라병사 이광악, 구례현감 이응서 · 적군측 : 왜교성 수장 소서행장 | · 임진전란사 p723 p1063∼1065, p1083∼1085 · 선조실록(1609) · 난중집록권3, 정유12월조 · 광양군지 p241(1983) |
1598 (선조31년) |
· 전란으로 광양고을 폐허. 광양현이 순천도호부 진영에 일시 편입됨으로서 광양읍이 순천도 호부에 소속됨 (곧 광양현으로 복구되었으나 연대미상) |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지방연혁연구(1988) |
1660 (현종원년) |
· 광양읍 객사(客舍)에 있던 광양현 전비 (「殿」자를 새겨 임금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잃어버려 읍이 혁파됨 |
· 현종실록(1677) · 전라남도지(1993) · 지방연혁연구p275(1988) · 광양군지(1925) |
1664 (현종5년) |
· 광양현으로 복구됨 |
· 광양군지(1925) |
1759 (영조35년) |
· 광양현이 12面을 관할 · 面名 및 面別 戶口, 남ㆍ녀 인구수가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 1759년 광양읍지역 · 沙羅谷面 : 253호, 남397명, 여469명 · 七 星 面 : 72호, 남138명, 여150명 · 仁 德 面 : 337호, 남514명, 여800명 · 牛 藏 面 : 362호, 남661명, 여691명 ※面의 長을 권농관(勸農官)이라함 |
· 여지도서(下권) 광양현 -순천진관 방리조 p761 (1759) |
1789 (정조13년) |
· 광양현이 12面, 147마을(村)을 관할함 · 면수는 1759년과 같으며 沙羅谷面→沙谷面, 骨若面→七骨若面으로 표기함 · 마을(村) 이름이 최초로 문헌상 기록됨 · 面→勸農官, 里→里正, 村→村正, 村長이라함 · 1789년 광양읍지역 면별 인구, 마을현황 · 沙谷面(7村) · 263호, 1084명(남498, 여586) · 草南浦村, 益申村, 江亭村, 本井村, 栢洞村, 杜谷村, 竹谷村 · 七星面(9村) · 60호, 306명(남143, 여163) · 里名이 기록되지 않음. 통계상9리가 있었던 것 같음 · 牛藏面(12村) · 371호 1,762명(남759 여1,003) · 月波村, 內牛藏村, 校村, 山底村, 城北村, 東門外村, 果木村, 開城村, 城隍村, 木果村, 外井村, 城內村 ※당시 광양읍의 중심지는 牛藏面 城內村임 |
· 호구총수 제6책 전라도 광양조(1789) · 지방연혁연구(1988) · 마을유래지 p38(1988) |
1789 (정조13년) |
· 仁德面(12村) · 421호 1,965명(남875, 여1,090) · 南門外村, 屯村, 坪村, 觀農村, 海倉村, 中閭村, 道溪村, 細繩村, 新豊村, 舞仙村, 東池浦村, 德山村 |
|
1869 (고종6년) |
·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읍호(邑號) 가 강등됨 · 사건발생 및 항쟁지가 광양읍 지역임 |
· 철종실록,비변사등록,임술록 · 일성록, 승정원일기 · 광양군지 p268∼272(1983) |
1872 (고종9년) |
· 면단위 아래 里명칭이 처음으로 문헌상기록됨 〈 광양읍 지역 〉 · 牛藏面(12개) · 月波里, 龜洞里, 木果里, 內牛里, 校村, 城北里, 城內里, 城隍里, 開城里, 果木里, 東外里, 城外里 · 仁德面(12개) · 南外里, 德山里, 中峴里, 中閭里, 舞仙里, 細升里, 東池里, 朱令里, 道淸里, 海倉里, 坪村, 內閭里 · 七星面(4개) · 城北里, 馬山里, 西外里, 新基里 · 沙谷面(10개) · 大杜里, 小杜里, 竹谷里, 本井里, 桶井里, 林洞里, 蹄飛里, 益申里, 機頭里, 草南里 | · 광양현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 : 1872) |
1889 (고종26년) |
(1876 : 강화도 조약) ·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 사건발생 및 항쟁지가 광양읍이 중심지역임 |
· 일성록 동년9월17일조 · 비변사등록 제270책 · 광양군지 p272(1983) |
1894 (고종31년) |
(1894년 : 갑오개혁 시작) · 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양의 많은 동학교도가 살해됨 · 섬거역 : 29명 학살(12.10) · 각 면 : 130여명포살(12.8∼12.11)· 광양읍 출신 : 39명 포살 · 남문(聽潮樓)이 좌수영 수병(水兵)의 방화로 소실 |
· 규장각소장 잡책철 NO1970 「광양현 포착동도성명성책」 · 광양군지 p284∼285(1983) |
1895. 5.1 (윤달) (고종32년) |
· 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 광양현 (光陽縣)을 광양군(光陽郡)으로 개칭함으로서 광양읍은 남원부(관찰사)관할 광양군(군수) 지역이 됨 · 광양읍 지역 · 광양군 우장면 · 광양군 칠성면 · 광양군 사곡면 · 광양군 인덕면 |
· 칙령제98호(1895.5.26) · 광양군지 p348(1983) |
1896. 8.4 (건양1년) |
· 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실시됨에 따라 全羅南道 光陽郡지역이 됨
· 인덕면(현, 광양읍지역)덕례리 일부가 승주군 (현, 순천시지역)해룡면에 편입 |
· 칙령제36호(1896.6.25) · 광양군지 p349(1983) · 전남도지 제10권 p100 · 광양군지 p349(1983) · 광양시통계연보p35(2000) |
1912 | · 왜정시대 행정개편 이전 광양읍 지역 面이름 과 관할里 · 광양읍 : 4個面 54個里 · 군 청 : 牛藏面 城內里 · 牛藏面 : 12個里 · 月波里, 內牛里, 校村里, 山底里, 城北里, |
·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1912) · 마을유래지 p39(1988) |
東外里, 城隍里, 果木里, 開城里, 木果里, 城內里, 新興里 · 仁德面 : 15個里 · 仁東里, 道淸里, 月坪里, 中閭里, 鳳井里, 海倉里, 世承里, 新豊里, 東池里, 朱令里, 舞仙里, 禮口里, 德山里, 回岩里, 仁西里 · 七星面 : 5個里 · 西外里, 星北里, 新基里, 堂村里, 馬山里 · 沙谷面 : 22個里 · 草南里, 縣月里, 佳庄里, 益申里, 外洞里, 江亭里, 本亭里, 億萬里, 桶泉里, 柏洞里, 大杜里, 小杜里, 林洞里, 新基里, 織洞里, 虎岩里, 竹谷里, 檢丹里, 臥龍里, 冠洞里, 機頭里 |
||
1914. 3.1 | · 順天郡 龍頭面 智峰里 일부를 光陽郡 仁德面 德禮里에 편입. 順天郡 龍頭面 山頭里ㆍ鳳栖里 의 각일부를 光陽郡 仁德面, 世豊里에 편입 · 光陽郡 仁德面 東池里 일부가 順天郡 海龍面 福星里에 편입 |
· 총독부 부령제111호 (1913.12.29) 「도의위치, 관할구역 및 부군명칭, 위치관할구역」 |
1914. 4.1 | · 왜정시대 행정개편이후 광양읍 지역 각면과 관할 리 ① 광양읍 지역 행정개편내용 · 牛藏面, 七星面, 紗谷面이 통합하여 光陽面이 됨 · 4개면→2개면, 54개리→15개리 ② 各面과 관할里 · 光陽面 : 10個里 · 龜山里 : 七星面 新基里, 堂村里, 馬山里, 西外里 各一部 · 七星里 : 七星面 星北里, 西外里, 馬山里, 牛藏面 山底里, 仁德面 仁西里 各一部 · 邑內里 : 牛藏面 城內里, 東外里, 果木里, 新興里, 仁德面 仁西里 各一部 |
· 총독부 부령제111호 (1913.12.29) · 조선면리동일람(1917) · 전라남도지(1993) · 지방연혁연구(1988) |
· 木城里 : 牛藏面 木果里, 開城里, 城隍里 · 牛山里 : 牛藏面 月波里, 內牛里, 松村里, 山底里 一部 · 龍江里 : 紗谷面 臥龍里, 冠洞里, 檢丹里, 江亭里, 機頭里 一部 · 益申里 : 紗谷面 益申里, 佳庄里, 外洞里 · 草南里 : 紗谷面 草南里, 懸月里 · 紗谷里 : 紗谷面 本亭里, 億萬里, 蹄飛里, 桶泉里 · 竹林里 : 紗谷面 虎岩里, 竹谷里, 林洞里, 大杜里, 小杜里, 栢洞里, 織洞里, 浣溪里, 骨若面 中陽里 一部 · 仁德面 : 5個里 · 仁西里 : 仁德面 仁西里, 牛藏面 新興里一部 · 仁東里 : 仁德面 仁東里, 道淸里 一部 · 道月里 : 仁德面 月坪里, 道淸里 一部 · 德禮里 : 仁德面 回岩里, 禮求里, 德山里, 舞仙里, 朱令里, 東池里, 順天郡 龍頭面 智峰里 일부 · 世豊里 : 仁德面 海倉里, 世承里, 鳳井里, 中閭里, 新豊里, 橋島 順天郡 龍頭面 山頭里ㆍ鳳栖里 각일부 |
||
1925. 4.1 | · 仁德面이 光陽面에 편입됨 (光陽郡 - 8面 管轄) (1945.8.15 : 해방) (1948.10.19 : 14연대 반란사건) | · 광양군지(1983) · 지방행정구역요람 p605 (내무부, 1980) · 지방연혁연구(1988)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1949. 8.14 | · 光陽面이 光陽邑으로 승격 (光陽郡 - 1邑7面 관할) (1950년 : 6.25동란 반발) |
· 대통령령 제162호 (1949.8.13)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광양군지(1983) · 지방연혁연구(1988) |
1983. 2.15 | · 옥룡면 雲谷里 일부(桂谷마을)를 광양읍 牛山里에 편입됨 | ·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1.10) |
1987. 1.1 | · 승주군 해룡면 福星里 일부(朱領마을)가 광양읍 德禮里 朱領마을에 편입 · 봉강면 지곡리 일부(普雲마을과 牛頭마을 일부)가 광양읍 구산리 新基마을에 편입 |
· 대통령령 제12007호 (1983.1.10) · 지방연혁연구(1988) |
1987. 1.1 | · 1987.1.1 기준 광양읍 행정구역일람 · 광양읍 : 15법정리 46행정리 59자연마을 151반 인구35,457인 · 소재지 : 광양읍 읍내리 273 |
· 광양군 통계연보 p39 (1988) · 광양군 마을유래지 p40 (1988) · 지방연혁연구p281∼282 (1988) |
1995. 1.1~ 현재 | ·동광양시·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복합형태의 光陽市 설치로 光陽市 光陽邑 이 됨 | 법률제4810호(1994.12.22.)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에 따른 행정특례 등에 관한 법률」 |
광양시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연령대에 맞게 언제든 손쉽게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