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Gwangyang
아래에 있는 항목들은 지난 일주일 동안의 당신의 상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그와 같은 일들이 지난 일주일 동안 얼마나 자주 일어났었는지 답변해 주십시오.
성 별 | 연 령 | 만 세 | |
---|---|---|---|
거주 지역 |
|
번 호 | 문 항 | 극히 드물다 (1일이하) |
가끔 있었다 (1~2일) |
종종 있었다 (3~4일) |
대부분 그랬다 (5일이상) |
---|---|---|---|---|---|
1 | 평소에는 아무렇지도 않은 일들이 괴롭고 귀찮게 느껴졌다 | ||||
2 | 먹고 싶지 않고 식욕이 없었다 | ||||
3 | 어느 누가 도와준다 하더라도 나의 울적한 기분이 떨쳐버릴 수 없을 것 같았다 | ||||
4 | 무슨 일을 하든 정신을 집중하기 힘들었다 | ||||
*5 | 비교적 잘 지냈다 | ||||
6 | 상당히 우울했다 | ||||
7 | 모든 일들이 힘들게 느껴졌다 | ||||
8 | 앞일이 암담하게 느껴졌다 | ||||
9 | 지금까지의 내 인생은 실패작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
*10 | 적어도 보통 사람들만큼의 능력은 있었다고 생각한다 | ||||
11 | 잠을 설쳤다. (잠을 잘 이루지 못했다) | ||||
12 | 두려움을 느꼈다 | ||||
13 | 평소에 비해 말수가 적었다 | ||||
14 | 세상에 홀로 있는 듯한 외로움을 느꼈다 | ||||
*15 | 큰 불만 없이 생활했다 | ||||
16 | 사람들이 나에게 차갑게 대하는 것 같았다 | ||||
17 | 갑자기 울음이 나왔다 | ||||
18 | 마음이 슬펐다 | ||||
19 |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았다 | ||||
20 | 도무지 뭘 해 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 |
* 본 척도는 조맹제, 김계희 (1993)가 신경정신의학회 에서 발표한 CES-D척도를 사용함을 알립니다.
0~16점 | 우울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
---|---|
17~24점 | 경도의 우울 상태에 속해 있습니다. 또는 우울증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필요시 전문의의 상담과 정신건강증진센터 061-797-3778(3779)를 통해 정보를 제공 받을수 있습니다. |
25점 이상 | 우울중 위험군 에 속해있습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합니다.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주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스스로의 노력에도 호전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면 전문가와의 상담과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면 충분히 호전되어질수 있습니다. 필요시 전문의의 상담과 정신건강증진센터 061-797-3778(3779)를 통해 정보를 제공 받을수 있습니다. |
자가진단만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정확한 증상과 판단을 위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함을 알려드립니다.
광양시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연령대에 맞게 언제든 손쉽게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