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알림건수 : 총 0

닫기 오늘하루열지않기

봉강면

  • 글자크기

기본현황

연혁
  • 1759년 광양현 뫼내면, 1895년 광양군 뫼내면으로 칭함
  • 1904년 현재의 봉강면으로 개칭
면적 : 55.59㎢
  • 경지 5.72㎢(10.3%) ∙임야 46.04㎢(82.9%) ∙ 기타 3.79㎢(6.8%)
행정구역 현황
행정구역 현황안내로 법정리, 행정리, 자연부락, 반에 대해 나타낸 표이다.
법 정 리 행 정 리 자연부락
7 18 24 23
인구현황(2019년 12월 31일 기준)
인구현황안내로 구분별 세대수 인구수에 대해 나타낸 표이다.
구 분 세 대 수 인 구 수
1,138 2,063 1,070 993
교육시설 현황(단위 : 개소)
교육시설 현황안내로 구분별 교육시설 개소에 대해 나타낸 표이다
구 분 대 학 전 문
대 학
고 등
학 교
중학교 초등학교
(분교)
유치원
합 계 3 - - 1 - 1 1
봉강면 기관 현황
봉강면 기관 현황안내로 기관명과 전화번호를 나타낸 표이다.
기 관 명 전 화 번 호
광양시청 797-2114
봉강면사무소 797-3642
봉강초등학교 763-1605
광양농협봉강지점 762-0166
봉 강 농 협 연 쇄 점 762-6678
봉강우체국 762-6602
봉강햇살수련원 762-6966
95년대 4대대 763-0113
광양1읍 봉강면대 763-1113
농업인상담소 797-3646
광양원협 760-7000
봉강면 보건지소 797-4080
조령보건진료소 797-4088
광양고등학교교무실 762-3338
광양하이텍고 제2농장 760-3010
광양119안전센터 798-0926
광양경찰서 봉강치안센터 762-4112

지명유래

  • 1983년 광양군지 편찬이후 각종문헌 및 관련자료를 근거하여 이름변천 과정을 살피면 봉강면(鳳岡面)이전 이름인 며내면( 內面)이란 지명이 처음 사료에 등장한 것은 1760년경에 편찬된 국가 주요문헌인 여지도서 (하권 : 광양현 순천진관 방리조 p.761)이고 그 이후 각종 문헌에 며내면( 內面, 乃面)또는 미내면(彌內面)으로 기록되어 전함.
  • 그 이후 봉강면(鳳岡面)으로 개칭한 시기는 문헌상 검토한 바에 의하면 서기 1872~1885년 사이로 추정되는데 개칭한 사유는 며내면이란 지명이 양반고을에는 부적당하다하여 고쳤다고 전하며, 봉강(鳳岡)이름 의미는「비봉산(飛鳳山)아래 봉(鳳)의 정기를 타고난 고을」이란 뜻이라고 이야기되고 있음.

연혁

연혁안내로 연대,내용, 전거에 대해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容 典據
구석기 시대 · 봉강면 석사리 서석마을에서 구석기시대 후기물인 석영암 자갈로 만들어진 여러면이 있는 작은석기(石器)가 발견됨
· 구석기인 들은 동굴에서 살거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살았는데, 이곳 유적이 발견된 지역은 광양서천의 지류인 구상천이 유적지 앞으로 흘러내리면서 지나감.
· 석기의 모양새로 보아 구석기시대 마지막 빙하기 이전의 생활도구로 판단됨.
· 문화유적분포지도 p152 (2000.2)
· 순천대학교 박물관
· 조선대학교 박물관 -구석기시대 조사협조
청동기 시대 · 봉강면 지역에서 신석기시대의 유물이 발견 되지 않고 있으며 다음시대인 청동기시대 유물이 여러곳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① 석사리 서석유물산포지 : 서석마을의 남쪽 말단부에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 원삼국시대의 적갈색 연질토기, 삼국시대의 회청색 경질 토기등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토기들이 분포됨.
② 지곡리 각비마을 지석묘군 : 청동기시대 시체를 매장하였던 지석묘가 마을입구「文星 齊」제각과 마을중간에 위치한 소나무사이에 36기가 분포됨
③ 석사리 명암마을 지석묘군 : 석현마을(동석, 서석)입구에서 건너편 평지 논가운데 지석묘 13기가 분포됨. '울바우'라 부름.
· 기타 석사리 동석, 지곡리 각비, 석사리 명암마을 등지에 지석묘가 분포됨.
· 光陽郡의 考古遺蹟 (이문영, 정기진저. 1993)
· 光陽郡의 文化遺蹟 (순천대학교박물관. 1993)
· 문화유적 분포지도 (순천대학교박물관. 2000)
삼한 시대 · 봉강면지역이 삼한시대에 마한 또는 변한지역이거나 어느지역에도 속하지 않은 완충지역 일수있음. ('83광양군지)
· 최근년에는 봉강면이 변한지역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음.
· 광양군지 p169(1983)
· 가야연맹사 p165 (김태식저, 2000)
369∼370
(근초24-25년)
(BC18 : 백제건국)
· 백제의 세력권에 속함
· 광양군지 p168(1983)
· 「일본서기」(720)
346∼374
(근초고왕대)
5세기말경
· 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
· 광양군지 p356(1983)
· 광양군지 p172(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13
(무령왕13년)
· 백제에 다시 속함 · 광양군지 p172-173(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38
(성왕16년)
· 백제의 5방중 남방(南方:久知下城,현재求禮郡)의 삽평군(?平郡, 현재順天市)에속한 마로현 (馬老縣)지역임 · 삼국사기지리지(1145)
663
(신라문무3년)
687
(신문왕7년)
(660년 : 백제멸망) · 나ㆍ당(羅ㆍ唐)의 지배하에 들어감 · 통일신라시대 9주 5소경 설치로 봉강면은 무진주(武珍州 : 현재 光州)의 삽평군(?平郡 :현재 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광양군지 p174(1983)
· 광양군지 p174(1983)
757
(경덕왕16)
·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 마로현(馬老縣)을 희양현(晞陽縣)으로 개칭함에 따라 봉강면은 희양현 지역이 됨. · 삼국사기(1145)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광양군지p176(1983)
892
(진성여왕6년)
· 후백제 견훤(甄萱)의 휘하에 들어감 (918년 : 고려건국)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지방연혁연구(1988)
936
(후백제 신검1년)
· 고려에 속함 · 고려사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고려 또는 그이전) · 광양현의 고려 또는 그이전 지방행정편제는 지역촌(일반촌락)과 특수행정구역인 향ㆍ소 ㆍ부곡등으로 편제됨 · 봉강면 지역은 지역촌(일반촌락)이 있었음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지방연혁연구(1988)
· 광양군지 p345(1983)
940
(고려태조 23년)
· 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陽縣)으로 고쳐 승평군(昇平郡 : 현재, 순천시)의 영현(領縣) 으로 함에따라 봉강고을이 광양현 지역이 됨 · 고려사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광양군지 p356(1983)
1172
(명종2년)
· 광양현이 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승평군(昇平郡)에서 분리되어 봉강지역이 처음으로 중앙관리의 감독, 지배를 받음.
· 명종2년(1172년)으로 추정 ※광양군지는 예종3년, 1108년에 감무를 둔것으로 기록함
· 대동지지 광양연현조 (김정호저, 1864년)
· 지방연혁연구p274(1988) ※광양군지p344(1983)
1413
(태종13년)
(1392년 : 조선건국)
· 광양현의 감무를고쳐 현감(縣監:종6품)으로 함에따라 처음으로 고을 현감의 감독, 지배를 받음.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지방연혁연구(1988)
· 광양군지 p211(1983)
1597
(선조30년)
(1592년 : 임진왜란)
· 왜구에 의해 광양읍성이 함락되어 봉강지역이 왜구의 점령하에 들어감
· 대동지지 광양현 典古條 (金正浩編, 1864)
1597.12
(선조30년)
· 광양읍에 위치한 광양읍성 탈환으로 봉강지역이 왜병의 만행으로부터 벗어남. · 임진전란사 p723 p1063∼1065, p1083∼1085
· 선조실록 (1609)
· 난중집록권3, 정유12월조
· 광양군지 p241(1983)
1598
(선조31년)
· 전란으로 광양고을 폐허. 광양현이 순천도호부 진영에 일시 편입됨으로서 봉강면이 순천도 호부에 소속됨 (곧 광양현으로 복구되었으나 연대미상) · 국역신증동국여지승람 Ⅴ권 광양현연혁조(1530)
· 전라남도지(1993)
· 지방연혁연구(1988)
1759
(영조35년)
· 광양현이 12面을 관할함 · 面名 및 面別 戶口, 남ㆍ녀 인구수가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 1759년 기준 봉강지역 · 며내면(?內面) : 호구248호, 남469명, 여463명 ※面의 長을 권농관(勸農官)이라함 · 여지도서(下권) 광양현 -순천진관 방리조 p761 (1759)
· 지방연혁연구 p278 (1988)
1789
(정조13년)
· 광양현이 12面, 147마을(村)을 관할함 · 마을(村) 이름이 최초로 문헌상 기록됨
· 面→勸農官, 里→里正, 村→村正, 村長이라함
· 1789년 봉강지역
· 호구236호, 1312명(남559, 여753)
· 며내면(?內面) : 社稷村, 石峴村, 紙谷村, (6개마을) 堂底村, 鳳棲村, 楮谷村
· 호구총수 제6책 전라도 광양조(1789)
· 지방연혁연구(1988)
· 마을유래지 p169(1988)
1869
(고종6년)
·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읍호(邑號)가 강등됨 · 철종실록,비변사등록,임술록 · 일성록, 승정원일기
· 광양군지 p268∼272(1983)
1872
(고종9년)
· 面단위 아래 里명칭과 面별 구역이 처음으로 문헌상(지도) 나타남. < 봉강지역 : 20개리 >
· 成佛里, 墨方里, 馬山里, 陽春里, 永水里,
· 開龍里, 西石里, 鳴巖里, 社稷里, 玉峴里,
· 枾木里, 紙谷里, 上鳳里, 下鳳里, 釜嶺里,
· 馬峙里, 具書里, 楮峙里, 莘基里, 本寺里
· 광양현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 1872)
1889
(고종26년)
(1876 : 강화도 조약)
·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 일성록 동년9월17일조
· 비변사등록 제270책
· 광양군지 p272(1983)
1894
(고종31년)
(1894년 : 갑오개혁 시작)
· 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양의 많은 동학교도가 살해됨
· 섬거역 : 29명 학살(12.10)
· 각 면 : 130여명포살(12.8∼12.11) · 봉강면 출신 : 21명 포살
· 규장각소장 잡책철 NO1970 「광양현 포착동도성명성책」
· 광양군지 p284∼285(1983)
1985. 5.1
(윤달)
(고종32년)
· 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 광양현 (光陽縣)을 광양군(光陽郡)으로 개칭함에따라 남원부(관찰사)관할 광양군(군수) 지역이 됨. · 봉강지역 : 남원부 광양군 며내면(?內面) · 칙령제98호(1895.5.26)
· 광양군지 p348(1983)
1896. 8.4
(건양1년)
· 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실시되어 全羅南道 光陽郡지역이 됨
· 봉강지역 : 全羅南道 光陽郡 ?內面(며내면)
· 칙령제36호(1896.6.25)
· 광양군지 p349(1983)
1904
(광무8년)
· 며내면(?內面)이 봉강면(鳳岡面)으로 개칭됨 (1905 : 을사보호조약체결) (1910 : 한일합방) · 지방행정지명사 (내무부지방행정과,1982)
· 광양군지 p349(1983)
1912 · 왜정시대 행정개편 이전 봉강면 관할里(37)
· 社稷里, 新龍里, 地境里, 玉峴里, 西石里, 東石里, 却飛里, 紙谷里, 鵲亭里, 四友里, 土店里, 堂底里, 朝陽里, 上鳳里, 下鳳里, 鳳溪里, 亭子里, 石坪里, 月谷里, 內楮里, 釜峴里, 具書里, 馬峙里, 枾木里, 開龍里, 嶺村里, 德坪里, 映水里, 莘村里, 鞍峙里, 傅岩里, 筆洞里, 上鳥里, 下鳥里, 成佛里, 普雲里, 陽春里
·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1912)
· 마을유래지p170(1988)
1914. 4.1 · 왜정시대 행정개편이후 봉강면 관할里
· 37리→7리
?紙谷里 : 紙谷里 却飛里, 鵲亭里, 四友里, 普雲里, 土店里
?鳳堂里 : 堂底里, 朝陽里, 下鳳里, 鳳溪里
?釜楮里 : 石坪里, 月谷里, 內楮里, 釜峴里
?具書里 : 具書里, 馬峙里, 枾木里, 亭子里
?鳥嶺里 : 嶺村里, 德坪里, 傅岩里, 筆洞里, 上鳥里, 下鳥里, 成佛里, 莘村里 一部
?莘村里 : 開龍里, 映水里, 陽春里, 鞍峙里, 莘村里 一部
?石社里 : 社稷里, 新龍里, 地境里, 西石里, 東石里, 玉峴里, 七星面 馬山里一部 順天郡 西面 鶴洞里 一部
· 총독부 부령제111호 (1913.12.29)
· 조선면리동일람(1917) · 지방연혁연구(1988)
· 마을유래지p170(1988)
1948 (1945. 8.15 : 해방) (1948.10.19 : 14연대 반란사건)
· 여수, 순천지역에서 많은 官民이 학살되고 이재민, 재산상 피해가 많았음.
· 광양지역은 한때 광양군청과 경찰서가 점령되었으나 곧 수복되었으며 백운산으로 잠입한 반군에 의해 봉강, (옥룡, 옥곡, 진상, 다압면) 일대에 피해가 컸음.
· 광양군지(1983)
1950 ∼1953 (1950 ; 6.25동란 발발)
· 6.25동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되고 이재민과 재산상 피해가 극심했음.
· 광양군지(1983)
1961 · 백운저수지 축조로 인하여 봉당리 조양(朝陽:25호)마을, 지곡리 작정(鵲亭:38호), 토점 (土店:20호)마을이 수몰됨 · 광양군지 p452(1983)
1987. 1.1 · 봉강면 지곡리 일부(普雲마을과 牛頭마을일부)가 광양읍 구산리 신기(新基)마을에 편입됨 · 대통령령 제12007호 (1986.12.23)
· 지방연혁연구 p277(1988)
· 1987.1.1기준 봉강면 행정구역 일람.
· 봉강면 : 7법정리 17행정리 25마을 31반 4,078명
· 소재지 : 봉강면 봉당리 746-2
· 광양군 통계연보 p41 (1988)
· 광양군 마을유래지 p170 (광양군, 1988)
· 지방연혁연구p281∼282 (1988)
법정리, 행정리, 자연마을, 반수, 인구에 대해 나타낸 표이다.
법정리 행정리 자연마을 반수 인구 비고
계(7) 17 25 31 4,078  
소계 3 4 7 948  
石社里 石社1區 〃 石社2區 石社3區 東石 玉峴 西石 鳴岩 1 1 3 2 272 49 312 315  
소계 1 2 4 464  
紙谷里 紙谷1區 〃 紙谷 却飛 3 1 423 41  
소계 3 4 4 655  
鳳堂里 鳳堂1區 〃 鳳堂2區 鳳堂3區 上鳳 鳳溪 堂底 下鳳 1 1 1 1 234 118 194 109  
소계 3 3 4 618  
釜楮里 釜楮1區 釜楮2區 釜楮3區 石坪 楮谷 釜峴 1 2 1 202 286 130  
소계 2 4 4 441  
具書里 具書1區 " 具書2區 " 具書 亭子 枾木 馬峙 1 1 1 1 206 98 74 63  
소계 3 5 5 584  
鳥嶺里 鳥嶺1區 〃 鳥嶺2區 〃 鳥嶺3區 德村 德坪 傅岩 筆洞 下鳥 1 1 1 1 1 93 145 103 45 198  
소계 2 3 3 368  
莘龍里 莘龍1區 〃 莘龍2區 開龍 映水 莘村 1 1 1 79 55 234  
年代, 內容, 典據 를 나타낸 표이다.
年代 內 容 典 據
1995.1.1 ∼현재 · 동광양시, 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복합 형태의 光陽市 설치로 光陽市 鳳岡面이 됨.
· 봉강면 : 7법정리 18행정리 29반
· 소재지 : 봉강면 봉당리 746-2
· 행정구역일람(2001.12.31현재)
 
· 법률 제4810호 (1994.12.22)「도농복합 형태의 시설치에 따른 행정특례등에 관한 법률」
· 광양시조례 제404호 (1999.11.9)「광양시 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339호 (1998.11.5)「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및 동장정수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468호 (2001.5.16)「광양시이통반 설치조례 중 개정조례」
· 광양시규칙 제269호 (1999.11.9) 「광양시 이통반 설치조례 시행규칙중 개정규칙」
법정리 구역(행정리)
계(7) 18 23
石社里 東石, 西石, 鳴岩(3) 3
紙谷里 紙谷(1) 2
鳳堂里 上鳳, 堂底, 下鳳(3) 3
釜楮里 石坪, 楮谷, 釜峴(3) 3
具書里 亭子, 具書, 馬枾(3) 4
鳥嶺里 德村, 傅岩, 下鳥(3) 5
莘龍里 開龍, 莘村(2) 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0/100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봉강면
  • 연락처061-797-4201
  • 최종수정일 2023년 09월 12일
공공누리의 제 4유형[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광양시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

광양시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연령대에 맞게 언제든 손쉽게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