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Gwangyang
법 정 리 | 행 정 리 | 자연부락 | 반 |
---|---|---|---|
7 | 18 | 24 | 23 |
구 분 | 세 대 수 | 인 구 수 | ||
---|---|---|---|---|
계 | 남 | 여 | ||
계 | 1,157 | 2,349 | 1,237 | 1,112 |
구 분 | 계 | 대 학 | 전 문 대 학 |
고 등 학 교 |
중학교 | 초등학교 (분교) |
유아원 |
---|---|---|---|---|---|---|---|
합 계 | 3 | - | - | 1 | - | 1 | 1 |
기 관 명 | 전 화 번 호 |
---|---|
광양시청 | 797-2114 |
봉강면사무소 | 797-3642 |
봉강초등학교 | 763-1605 |
광양농협봉강지점 | 762-0166 |
봉 강 농 협 연 쇄 점 | 762-6678 |
봉강우체국 | 763-0487 |
봉강햇살수련원 | 762-6966 |
95년대 4대대 | 763-0113 |
예비군면대 | 763-4113 |
농업인상담소 | 797-3646 |
광양원협 | 762-7000 |
봉강면 보건지소 | 763-5975 |
조령진료소 | 762-4863 |
광양고등학교교무실 | 762-3338 |
광양실업고 제2농장 | 762-7014 |
광양소방서 봉강 119지역대 | 762-6119 |
방범대사무실 | 763-0665 |
광양경찰서 봉강파출소 | 762-4112 |
年代 | 內容 | 典據 |
---|---|---|
구석기 시대 | · 봉강면 석사리 서석마을에서 구석기시대 후기물인 석영암 자갈로 만들어진 여러면이 있는 작은석기(石器)가 발견됨 · 구석기인 들은 동굴에서 살거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살았는데, 이곳 유적이 발견된 지역은 광양서천의 지류인 구상천이 유적지 앞으로 흘러내리면서 지나감. · 석기의 모양새로 보아 구석기시대 마지막 빙하기 이전의 생활도구로 판단됨. |
· 문화유적분포지도 p152 (2000.2) · 순천대학교 박물관 · 조선대학교 박물관 -구석기시대 조사협조 |
청동기 시대 | · 봉강면 지역에서 신석기시대의 유물이 발견 되지 않고 있으며 다음시대인 청동기시대 유물이 여러곳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① 석사리 서석유물산포지 : 서석마을의 남쪽 말단부에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 원삼국시대의 적갈색 연질토기, 삼국시대의 회청색 경질 토기등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토기들이 분포됨. ② 지곡리 각비마을 지석묘군 : 청동기시대 시체를 매장하였던 지석묘가 마을입구「文星 齊」제각과 마을중간에 위치한 소나무사이에 36기가 분포됨 ③ 석사리 명암마을 지석묘군 : 석현마을(동석, 서석)입구에서 건너편 평지 논가운데 지석묘 13기가 분포됨. '울바우'라 부름. · 기타 석사리 동석, 지곡리 각비, 석사리 명암마을 등지에 지석묘가 분포됨. |
· 光陽郡의 考古遺蹟 (이문영, 정기진저. 1993) · 光陽郡의 文化遺蹟 (순천대학교박물관. 1993) · 문화유적 분포지도 (순천대학교박물관. 2000) |
삼한 시대 | · 봉강면지역이 삼한시대에 마한 또는 변한지역이거나 어느지역에도 속하지 않은 완충지역 일수있음. ('83광양군지) · 최근년에는 봉강면이 변한지역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고 있음. |
· 광양군지 p169(1983) · 가야연맹사 p165 (김태식저, 2000) |
369∼370 (근초24-25년) |
(BC18 : 백제건국) · 백제의 세력권에 속함 |
· 광양군지 p168(1983) · 「일본서기」(720) |
346∼374 (근초고왕대) 5세기말경 |
· 백제시대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 |
· 광양군지 p356(1983) · 광양군지 p172(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
513 (무령왕13년) |
· 백제에 다시 속함 | · 광양군지 p172-173(1983) ·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
538 (성왕16년) |
· 백제의 5방중 남방(南方:久知下城,현재求禮郡)의 삽평군(?平郡, 현재順天市)에속한 마로현 (馬老縣)지역임 | · 삼국사기지리지(1145) |
663 (신라문무3년) 687 (신문왕7년) |
(660년 : 백제멸망) · 나ㆍ당(羅ㆍ唐)의 지배하에 들어감 · 통일신라시대 9주 5소경 설치로 봉강면은 무진주(武珍州 : 현재 光州)의 삽평군(?平郡 :현재 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지역임. | · 광양군지 p174(1983) · 광양군지 p174(1983) |
757 (경덕왕16) |
·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 마로현(馬老縣)을 희양현(晞陽縣)으로 개칭함에 따라 봉강면은 희양현 지역이 됨. | · 삼국사기(1145)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광양군지p176(1983) |
892 (진성여왕6년) |
· 후백제 견훤(甄萱)의 휘하에 들어감 (918년 : 고려건국) |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지방연혁연구(1988) |
936 (후백제 신검1년) |
· 고려에 속함 | · 고려사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고려 또는 그이전) | · 광양현의 고려 또는 그이전 지방행정편제는 지역촌(일반촌락)과 특수행정구역인 향ㆍ소 ㆍ부곡등으로 편제됨 · 봉강면 지역은 지역촌(일반촌락)이 있었음 |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지방연혁연구(1988) · 광양군지 p345(1983) |
940 (고려태조 23년) |
· 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陽縣)으로 고쳐 승평군(昇平郡 : 현재, 순천시)의 영현(領縣) 으로 함에따라 봉강고을이 광양현 지역이 됨 | · 고려사 제57권(1451) · 지방연혁연구p274(1988) · 전라남도지제10권(1993) · 광양군지 p356(1983) |
1172 (명종2년) |
· 광양현이 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승평군(昇平郡)에서 분리되어 봉강지역이 처음으로 중앙관리의 감독, 지배를 받음. · 명종2년(1172년)으로 추정 ※광양군지는 예종3년, 1108년에 감무를 둔것으로 기록함 |
· 대동지지 광양연현조 (김정호저, 1864년) · 지방연혁연구p274(1988) ※광양군지p344(1983) |
1413 (태종13년) |
(1392년 : 조선건국) · 광양현의 감무를고쳐 현감(縣監:종6품)으로 함에따라 처음으로 고을 현감의 감독, 지배를 받음. |
· 세종실록지리지(1454) ·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 지방연혁연구(1988) · 광양군지 p211(1983) |
1597 (선조30년) |
(1592년 : 임진왜란) · 왜구에 의해 광양읍성이 함락되어 봉강지역이 왜구의 점령하에 들어감 |
· 대동지지 광양현 典古條 (金正浩編, 1864) |
1597.12 (선조30년) |
· 광양읍에 위치한 광양읍성 탈환으로 봉강지역이 왜병의 만행으로부터 벗어남. | · 임진전란사 p723 p1063∼1065, p1083∼1085 · 선조실록 (1609) · 난중집록권3, 정유12월조 · 광양군지 p241(1983) |
1598 (선조31년) |
· 전란으로 광양고을 폐허. 광양현이 순천도호부 진영에 일시 편입됨으로서 봉강면이 순천도 호부에 소속됨 (곧 광양현으로 복구되었으나 연대미상) | · 국역신증동국여지승람 Ⅴ권 광양현연혁조(1530) · 전라남도지(1993) · 지방연혁연구(1988) |
1759 (영조35년) |
· 광양현이 12面을 관할함 · 面名 및 面別 戶口, 남ㆍ녀 인구수가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 1759년 기준 봉강지역 · 며내면(?內面) : 호구248호, 남469명, 여463명 ※面의 長을 권농관(勸農官)이라함 | · 여지도서(下권) 광양현 -순천진관 방리조 p761 (1759) · 지방연혁연구 p278 (1988) |
1789 (정조13년) |
· 광양현이 12面, 147마을(村)을 관할함 · 마을(村) 이름이 최초로 문헌상 기록됨 · 面→勸農官, 里→里正, 村→村正, 村長이라함 · 1789년 봉강지역 · 호구236호, 1312명(남559, 여753) · 며내면(?內面) : 社稷村, 石峴村, 紙谷村, (6개마을) 堂底村, 鳳棲村, 楮谷村 |
· 호구총수 제6책 전라도 광양조(1789) · 지방연혁연구(1988) · 마을유래지 p169(1988) |
1869 (고종6년) |
·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읍호(邑號)가 강등됨 | · 철종실록,비변사등록,임술록 · 일성록, 승정원일기 · 광양군지 p268∼272(1983) |
1872 (고종9년) |
· 面단위 아래 里명칭과 面별 구역이 처음으로 문헌상(지도) 나타남. < 봉강지역 : 20개리 > · 成佛里, 墨方里, 馬山里, 陽春里, 永水里, · 開龍里, 西石里, 鳴巖里, 社稷里, 玉峴里, · 枾木里, 紙谷里, 上鳳里, 下鳳里, 釜嶺里, · 馬峙里, 具書里, 楮峙里, 莘基里, 本寺里 |
· 광양현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 1872) |
1889 (고종26년) |
(1876 : 강화도 조약) ·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
· 일성록 동년9월17일조 · 비변사등록 제270책 · 광양군지 p272(1983) |
1894 (고종31년) |
(1894년 : 갑오개혁 시작) · 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양의 많은 동학교도가 살해됨 · 섬거역 : 29명 학살(12.10) · 각 면 : 130여명포살(12.8∼12.11) · 봉강면 출신 : 21명 포살 |
· 규장각소장 잡책철 NO1970 「광양현 포착동도성명성책」 · 광양군지 p284∼285(1983) |
1985. 5.1 (윤달) (고종32년) |
· 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 광양현 (光陽縣)을 광양군(光陽郡)으로 개칭함에따라 남원부(관찰사)관할 광양군(군수) 지역이 됨. · 봉강지역 : 남원부 광양군 며내면(?內面) | · 칙령제98호(1895.5.26) · 광양군지 p348(1983) |
1896. 8.4 (건양1년) |
· 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실시되어 全羅南道 光陽郡지역이 됨 · 봉강지역 : 全羅南道 光陽郡 ?內面(며내면) |
· 칙령제36호(1896.6.25) · 광양군지 p349(1983) |
1904 (광무8년) |
· 며내면(?內面)이 봉강면(鳳岡面)으로 개칭됨 (1905 : 을사보호조약체결) (1910 : 한일합방) | · 지방행정지명사 (내무부지방행정과,1982) · 광양군지 p349(1983) |
1912 | · 왜정시대 행정개편 이전 봉강면 관할里(37) · 社稷里, 新龍里, 地境里, 玉峴里, 西石里, 東石里, 却飛里, 紙谷里, 鵲亭里, 四友里, 土店里, 堂底里, 朝陽里, 上鳳里, 下鳳里, 鳳溪里, 亭子里, 石坪里, 月谷里, 內楮里, 釜峴里, 具書里, 馬峙里, 枾木里, 開龍里, 嶺村里, 德坪里, 映水里, 莘村里, 鞍峙里, 傅岩里, 筆洞里, 上鳥里, 下鳥里, 成佛里, 普雲里, 陽春里 |
·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1912) · 마을유래지p170(1988) |
1914. 4.1 | · 왜정시대 행정개편이후 봉강면 관할里 · 37리→7리 ?紙谷里 : 紙谷里 却飛里, 鵲亭里, 四友里, 普雲里, 土店里 ?鳳堂里 : 堂底里, 朝陽里, 下鳳里, 鳳溪里 ?釜楮里 : 石坪里, 月谷里, 內楮里, 釜峴里 ?具書里 : 具書里, 馬峙里, 枾木里, 亭子里 ?鳥嶺里 : 嶺村里, 德坪里, 傅岩里, 筆洞里, 上鳥里, 下鳥里, 成佛里, 莘村里 一部 ?莘村里 : 開龍里, 映水里, 陽春里, 鞍峙里, 莘村里 一部 ?石社里 : 社稷里, 新龍里, 地境里, 西石里, 東石里, 玉峴里, 七星面 馬山里一部 順天郡 西面 鶴洞里 一部 |
· 총독부 부령제111호 (1913.12.29) · 조선면리동일람(1917) · 지방연혁연구(1988) · 마을유래지p170(1988) |
1948 | (1945. 8.15 : 해방) (1948.10.19 : 14연대 반란사건) · 여수, 순천지역에서 많은 官民이 학살되고 이재민, 재산상 피해가 많았음. · 광양지역은 한때 광양군청과 경찰서가 점령되었으나 곧 수복되었으며 백운산으로 잠입한 반군에 의해 봉강, (옥룡, 옥곡, 진상, 다압면) 일대에 피해가 컸음. |
· 광양군지(1983) |
1950 ∼1953 | (1950 ; 6.25동란 발발) · 6.25동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되고 이재민과 재산상 피해가 극심했음. |
· 광양군지(1983) |
1961 | · 백운저수지 축조로 인하여 봉당리 조양(朝陽:25호)마을, 지곡리 작정(鵲亭:38호), 토점 (土店:20호)마을이 수몰됨 | · 광양군지 p452(1983) |
1987. 1.1 | · 봉강면 지곡리 일부(普雲마을과 牛頭마을일부)가 광양읍 구산리 신기(新基)마을에 편입됨 | · 대통령령 제12007호 (1986.12.23) · 지방연혁연구 p277(1988) |
· 1987.1.1기준 봉강면 행정구역 일람. · 봉강면 : 7법정리 17행정리 25마을 31반 4,078명 · 소재지 : 봉강면 봉당리 746-2 |
· 광양군 통계연보 p41 (1988) · 광양군 마을유래지 p170 (광양군, 1988) · 지방연혁연구p281∼282 (1988) |
법정리 | 행정리 | 자연마을 | 반수 | 인구 | 비고 |
---|---|---|---|---|---|
계(7) | 17 | 25 | 31 | 4,078 | |
소계 | 3 | 4 | 7 | 948 | |
石社里 | 石社1區 〃 石社2區 石社3區 | 東石 玉峴 西石 鳴岩 | 1 1 3 2 | 272 49 312 315 | |
소계 | 1 | 2 | 4 | 464 | |
紙谷里 | 紙谷1區 〃 | 紙谷 却飛 | 3 1 | 423 41 | |
소계 | 3 | 4 | 4 | 655 | |
鳳堂里 | 鳳堂1區 〃 鳳堂2區 鳳堂3區 | 上鳳 鳳溪 堂底 下鳳 | 1 1 1 1 | 234 118 194 109 | |
소계 | 3 | 3 | 4 | 618 | |
釜楮里 | 釜楮1區 釜楮2區 釜楮3區 | 石坪 楮谷 釜峴 | 1 2 1 | 202 286 130 | |
소계 | 2 | 4 | 4 | 441 | |
具書里 | 具書1區 " 具書2區 " | 具書 亭子 枾木 馬峙 | 1 1 1 1 | 206 98 74 63 | |
소계 | 3 | 5 | 5 | 584 | |
鳥嶺里 | 鳥嶺1區 〃 鳥嶺2區 〃 鳥嶺3區 | 德村 德坪 傅岩 筆洞 下鳥 | 1 1 1 1 1 | 93 145 103 45 198 | |
소계 | 2 | 3 | 3 | 368 | |
莘龍里 | 莘龍1區 〃 莘龍2區 | 開龍 映水 莘村 | 1 1 1 | 79 55 234 |
年代 | 內 容 | 典 據 | ||
---|---|---|---|---|
1995.1.1 ∼현재 | · 동광양시, 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복합 형태의 光陽市 설치로 光陽市 鳳岡面이 됨. · 봉강면 : 7법정리 18행정리 29반 · 소재지 : 봉강면 봉당리 746-2 · 행정구역일람(2001.12.31현재) |
· 법률 제4810호 (1994.12.22)「도농복합 형태의 시설치에 따른 행정특례등에 관한 법률」 · 광양시조례 제404호 (1999.11.9)「광양시 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339호 (1998.11.5)「광양시 행정 운영동의 설치및 동장정수 조례중 개정조례」 · 광양시조례 제468호 (2001.5.16)「광양시이통반 설치조례 중 개정조례」 · 광양시규칙 제269호 (1999.11.9) 「광양시 이통반 설치조례 시행규칙중 개정규칙」 |
||
법정리 | 구역(행정리) | 반 | ||
계(7) | 18 | 23 | ||
石社里 | 東石, 西石, 鳴岩(3) | 3 | ||
紙谷里 | 紙谷(1) | 2 | ||
鳳堂里 | 上鳳, 堂底, 下鳳(3) | 3 | ||
釜楮里 | 石坪, 楮谷, 釜峴(3) | 3 | ||
具書里 | 亭子, 具書, 馬枾(3) | 4 | ||
鳥嶺里 | 德村, 傅岩, 下鳥(3) | 5 | ||
莘龍里 | 開龍, 莘村(2) | 3 |
광양시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연령대에 맞게 언제든 손쉽게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