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마당

자유게시판

  • 글자크기
자유게시판 상세페이지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의 정보를 제공
들깨에 피해 주는 정체불명 해충, 애긴노린재로 밝혀져
작성자 한상훈 등록일 2020.09.10 11:07
조회수 21







들깨에 피해 주는 정체불명 해충, 애긴노린재로 밝혀져



- 수량 감소와 발아율 저하… 1주당 30마리 이상 관찰 시 등록약제로 방제 -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최근 종실용 들깨에 피해를 주는 정체불명의 해충이 애긴노린재임을 밝히고, 제때 방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 들깨에 피해를 입히는 해충으로는 일반적으로 들깨잎말이명나방, 파방나방, 점박이응애 등이 있다. 최근에는 종실용 들깨 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미소노린재에 의한 피해로 추측되는 문의가 많았다.



 ○ 농촌진흥청이 그 피해 양상을 연구한 결과, 애긴노린재에 의한 피해임을 국내 최초로 밝혔다.



 



애긴노린재는 오래된 국내 토착 해충이다. 그동안 애긴노린재에 의한 수수, 조, 기장의 종실 피해는 흔하게 나타났지만, 들깨 종실 피해는 보고된 적이 없었다.



 ○ 애긴노린재는 성충 크기가 3.5∼5.5㎜로 작은 미소노린재류에 속하고, 황갈색 또는 회황색 바탕의 불규칙한 흑갈색 무늬가 있다.  들깨 종실에 침을 꽂아서 즙액을 빨아먹기 때문에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피해를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애긴노린재는 들깨 꽃이 피는 9월 초부터 주변 잡초에서 날아와 피해를 입히며, 종실이 열리는 9월 중순에 밀도가 급격히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 들깨 밭으로 날아온 애긴노린재는 종실에 피해를 입히며 알을 낳고, 부화한 약충1) 이 다시 들깨에 피해를 준다. 애긴노린재의 평균 발육기간은 25도에서 20일 내외로, 들깨 종실을 수확할 때까지 대략 3세대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 애긴노린재 발생 밀도에 따라 들깨 종실 수량이 크게 감소하며, 발아율도 낮아져 다음 해 종자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9월 중순부터 들깨를 관찰했을 때 애긴노린재 밀도가 들깨 1주당 약 30마리 이상이면, 등록된 노린재 약제인 비펜트린 수화제 10일 간격으로 1∼2회 줄기와 잎(경엽)에 뿌려 방제한다.



 ○ 재배 초기에 애긴노린재의 서식 가능성이 있는 주변 잡초를 제거하거나 잘 관리하면 노린재 밀도 감소에 도움이 된다.



 ○ 작물별로 등록된 약제정보와 잠정등록 작물보호제는 농촌진흥청 누리집 ‘농약정보365(http://pis.r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2)



 



□ 농촌진흥청 생산기술개발과 정태욱 과장은 “그동안 들깨 종실 수확 후 발견된 수많은 작은 벌레들은 애긴노린재로 밝혀졌다”라며,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제때 방제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들깨 애긴노린재 발생 양상 및 피해 정도 등



 



<참고자료>



□ 들깨 애긴노린재 발생 양상 및 피해 정도 등



 ○ 애긴노린재의 형태 및 가해 사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b4289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6pixel, 세로 62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b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1pixel, 세로 58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애긴노린재(종실가해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84pixel, 세로 3456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9년 10월 11일 오후 9:47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 100D F-스톱 : 9.0 노출 시간 : 1/60초 IOS 감도 : 4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프로그램 노출 : 조리개 우선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0



<애긴노린재 알>



<애긴노린재 약충>



<들깨종실 가해>




 



 ○ 들깨 재배포장의 애긴노린재류 밀도(2019)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56c001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31pixel, 세로 373pixel



  ※ N.plebeius: 애긴노린재, N.hidakai: 닮은애긴노린재, N. inconspicuus: (가칭)씨노린재



  ※ 우점종의 비율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음



  -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9월초 들깨 개화기 이후 애긴노린재류 밀도가 높아지기 시작해서 9월 중순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내실험)종실들깨 애긴노린재 밀도에 따른 들깨 종실의 무게 감소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9cf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6pixel, 세로 49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9cf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6pixel, 세로 495pixel



 



들깨종실 무게 감소량(접종:3일)



들깨 무게 감소량(접종:5일)




  - 실내실험 결과 애긴노린재 밀도가 높고 흡즙 기간이 길수록 들깨 무게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노린재 밀도와 흡즙기 간은 들깨 종실 무게 감소와 양의 상관관계임을 구명).



 



 ○ (실내실험)종실들깨 애긴노린재 밀도에 따른 들깨 종실의 발아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9cf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6pixel, 세로 49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9cf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6pixel, 세로 492pixel



 



들깨종실 발아율 변화(접종:3일)



들깨 종실 발아율 변화(접종:5일)




  - 실내실험 결과 애긴노린재 밀도와 흡즙 기간이 길수록 종자 발아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노린재 흡즙에 의한 들깨 종실의 무게 감소는 종자의 발아율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구명).



 



 ○ 노린재 피해에 의한 들깨 종실의 활력 검정



 - 노린재 피해 종자 활력검정(TTC 검정)                         염색반응(%)



 




























구  분



1차



2차



3차



평균



염색율(피해)



13.3



16.7



16.7



15.6



염색율(무피해)



96.7



90.0



100.0



95.6




 ※ 염색율이 높을수록 종자활력이 높음, 접종기간/밀도 : 7일, 10마리



  - 종자 발아율은 종자의 활력과 관련이 있는데, TTC 검정 결과 노린재 피해를 받으면 종자의 활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종자의 발아율 저하는 노린재 흡즙 피해로 인해 종자의 활력이 저하되었기 때문).



 



○ 애긴노린재 밀도와 들깨 종실 수량 감소율과의 관계



 


























접종



시기



회귀식



상관계수



수량 감소율 유충밀도(마리/주)



5%



10%



15%



성숙기



Y = 0.19X + 0.02



R2 = 0.8196



27



53



79




 ※ X = 유충밀도, Y = 수량 감소율     ※ 애긴노린재 접종 충태 : 종령 약충∼성충 접종



 ※ 경제적피해허용(ET) 수준은 통산적으로 수량감소율 기준 5% 임.



  - 애긴노린재 밀도에 따른 들깨 수량 감소 피해의 정도를 필드에서 검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회귀식을 산출하였음. 회귀곡선을 이용해 노린재 밀도에 따른 수량 감소율을 예측함



 



 ○ 애긴노린재 발육 기간



 

















발육온도(℃)



발육기간(일)



성충수명(일)



25



17.6



8.6




 



 





1)  불완전 변태(번데기 과정이 없는 변태)를 하는 곤충의 어린벌레



2)  2019년 1월 1일부터 전면 시행한 농약 허용기준 강화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로 인해 등록된 농약 기준량을 지켜 사용해야 한다.



 



출처 : 농촌진흥청

첨부파일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0/100

OPEN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