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 백운산생태 >
- 식물이야기 >
- 초화류
초화류
- 초화류
- 백운산 일대 식물 총수는 122과 452속 717종 1아종 103변종 9품종 등 도합 830여종이 서식하고 있다. 보호대상 자생식물로는 히어리, 산오이풀, 백운쇠물푸레, 백운란, 나도승마, 지리터리풀, 노각나무, 털동자꽃, 눈빛승마, 흰참꽃, 매미꽃, 새이삭여뀌, 백운기름나물, 모데미풀 등이 있다.
- 물봉선
- 우리가 손톱에 물을 들이는 봉선화와는 달리 주로 물가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식물입니다. 꽃의 아랫부분에 꿀샘이 둘둘 말려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닭의 장풀
- 8월에 피는 파란색 꽃잎 2장이 닭의 벼슬과 흡사하다고 하여 닭의장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흔히 줄여서 달개비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히어리
- 봄철에 노란 꽃을 조랑조랑 피어내는 히어리는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한 소중한 식물입니다.
- 각시붓꽃
- 생육환경은 햇살이 잘 들어오는 양지바른 곳에서 주로 서식하며 큰 군락을 이루는 곳은 별로 없고 대부분 군데군데 모여 피는 종이다. 키는 10~20㎝이고, 잎은 길이가 약 30㎝, 폭은 약 0.2~0.5㎝로 칼처럼 휘어지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보라색이며 크기는 3~4㎝로, 꽃잎 안쪽에 수술과 암술이 들어가 있고 꽃줄기 하나에 꽃이 한 송이씩 달린다. 열매는 6~7월경에 갈색의 긴 타원형으로 달리고 안에는 광택이 나는 검은 종자가 들어 있다.
- 감자난초
- 난초과 식물이 대부분 그러하듯 다년초로 뿌리부분은 둥근 알뿌리로 되어 있다. 키는 30~50㎝로 난과 식물 가운데 큰 편에 들어가며, 잎은 옆에서 1~2장이 나오는데 약 30㎝가량 될 만큼 큰 잎을 가지고 있다. 잎의 폭 또한 넓어 0.5~3㎝가량 된다. 꽃은 황갈색이며 꽃받침이 뒤에 둘러싸고 있다. 열매는 7~8월경에 갈색으로 달리고 씨방 안에는 무수히 많은 종자가 먼지처럼 들어 있다.
- 개별꽃
-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뿌리는 방추형이며, 흰색 또는 회색을 띤 노란색이다. 높이 8-20cm로 줄기는 곧추서며, 털이 2줄로 난다. 줄기 끝 부분의 잎은 2쌍이 돌려난 것처럼 보이며, 넓은 난형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5개가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 곰취꽃
-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500미터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주로 자란다. 4월부터 6월까지의 여린 잎은 생으로 먹는다. 이후 너무 자라 억세어진 잎은 묵나물과 장아찌로 해서 먹는다. 곰취를 흔히 ‘산나물의 제왕’이라고 한다.
- 광대나물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은 원형으로 잎자루가 길다.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반원형, 양쪽에서 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3-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피며, 붉은 보라색이다.
- 큰구슬붕이
- 큰구슬붕이는 2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은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5~10㎝이고, 잎은 길이가 0.5~1.2㎝, 폭이 0.3~1㎝로 가장자리가 두껍고 백색이며 잔돌기가 있고, 뒷면은 적자색이 나고 난형으로 어긋난다. 꽃은 자줏빛이 돌고 길이는 1.8~2.5㎝로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몇 개씩 모여 달린다.
- ㆍ담당부서
- 휴양림관리
- ㆍ연락처
- 061-797-3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