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 백운산생태 >
- 동물이야기 >
- 포유류
포유류
- 백운산은 후손으로부터 빌려쓰고 있는 것입니다.
- 백운산 서식 포유류는 총 15종 170개체이며 천연기념물인 하늘다람쥐, 수달 등 2종, 희귀종인 너구리, 삵, 멧돼지 등 3종이 서식하고 있다. 우세종은 고슴도치, 두더지,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고라니, 노루 등 7종이 서식한다.
너구리
- 생김새
- 몸길이 50~68cm, 꼬리길이 15~8cm, 몸무게 4~10kg으로, 개과 중 원시 적인 동물이다. 몸은 땅딸막하고 네 다리는 짧으며, 귓바퀴도 작고 둥글다. 주둥이는 뾰족하며, 꼬리는 굵고 짧다. 몸의 털은 길고 황갈색이며, 등면의 중앙부와 어깨는 끝이 검은 털이 많다.
- 생태
- 야행성 동물이지만 가끔 낮에도 숲속에 나타날 때가 있다. 들쥐·개구리·뱀· 게·지렁이류·곤충·열매·고구마 등을 먹는 잡식성이다. 번식기는 3월이고, 한배에 3~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경계심이 부족하기 때문에 쉽게 덫에 걸리며, 짧은 다리에 비해 몸집이 비대하기때문에 빨리 달리지는 못한다. 유럽·러시아·일본을 비롯해 중국 동북지방과 한반도에 분포한다.
멧돼지
- 생김새
- 몸길이 1.1~1.8m, 몸무게 50~280kg이다. 몸은 굵고 길며, 네 다리는 비교적 짧아서 몸통과의 구별이 확실하지 않다. 주둥이는 매우 길며 원통형 이다. 눈은 비교적 작고, 귓바퀴는 삼각형이다. 머리 위부터 어깨와 등면에 걸쳐서 긴 털이 많이 나 있다. 성숙한 개체의 털 빛깔은 갈색 또는 검은색인데, 늙을수록 희끗희끗한 색을 띤 검은색 또는 갈색으로 퇴색되는 것처럼 보인다. 송곳니는 질긴 나무뿌리를 자르거나 싸울 때 무기가 된다.
- 생태
- 깊은 산, 특히 활엽수가 우거진 곳에서 사는 것을 좋아한다. 번식기는 12~1월이며, 5월에 7~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의 몸에는 노란빛을 띤 흰색의 세로줄 무늬가 보호색이 된다. 유라시아의 중부, 남부의 삼림에서 서식한다.
수달
- 생김새
- 몸길이 63~75cm, 꼬리길이 41~55cm, 몸무게 5.8~10kg이다. 형태는 수중생활을 하기에 알맞다. 머리는 원형이고 코는 둥글며, 눈은 작고 귀는 짧아서 주름가죽에 덮여 털 속에 묻혀 있다. 꼬리는 둥글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네 다리는 짧고 발가락은 발톱까지 물갈퀴로 되어 있어 헤엄 치기에 편리하며 걸을 때에는 발가락 전부가 땅에 닿는다.
- 생태
- 가장 좋아하는 환경은 물이지만 발톱이 약하기 때문에 땅을 파서 보금자리를 만들지 못한다. 야행성이며 낮에는 보금자리에서 쉬며 갑자기 위험 상태에 이르렀을 때에는 물속으로 잠복한다. 외부감각이 발달되어 밤이나 낮이나 잘 보이며 작은 소리도 잘 들을 수 있고 후각으로 물고기의 존재, 천적의 습격을 감지한다.
먹이는 주로 어류이며, 개구리, 게도 잘 먹는다. 유럽·북아프리카·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멧토끼
- 생김새
- 몸길이 45~49cm, 귀길이 7~9.5cm, 뒷발길이 10.5~13cm, 꼬리길이 6~7cm이다. 몸의 털은 대체로 회색이며, 털 끝 가운데 특히 허리·꼬리의 붉은빛을 띤 갈색 부분은 연한 회색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겨울털은 일반적으로 길고 부드럽고 빽빽하게 나 있으나, 여름털은 거칠고 짧다.
- 생태
- 주로 해발고도 500m 이하의 야산에 서식하며 1,000m 이상의 산에는 서식 밀도가 낮다. 초식성으로 나무의 새순, 잎, 씨앗이나 줄기를 주로 먹는다. 주로 저녁에 활동하기 때문에 낮에 볼 기회가 드물다.
번식률은 1년에 2~3회 새끼를 낳으며, 한배에 2~4마리를 낳는다.
노루와 마찬가지로 그 수가 감소되고 있다.
한국 전 지역에 분포한다.
고라니
- 생김새
- 몸길이 약 77.5~100cm, 꼬리길이 6~7.5cm, 몸무게 9~11kg이다. 암수가 모두 뿔이 없다. 위턱의 송곳니가 엄니 모양으로 발달하였는데, 수컷의 송곳니는 약 6cm 정도로 입 밖으로 나와 있으며, 번식기에 수컷끼리 싸울 때 쓰인다. 눈 밑에 냄새를 분비하는 작은 샘이 있다. 털은 거칠고 굵다. 몸의 등쪽은 노란빛을 띤 갈색, 배쪽은 연한 노란색, 앞다리는 붉은색을 띤다. 유두가 4개 있는 것으로 고대형 노루임을 알 수 있다.
- 생태
- 갈대밭이나 관목이 우거진 곳 산기슭 밭근처에 서식하며, 건조한 곳을 좋아한다. 보통 2~4 마리씩 지내며, 연한 풀이나 나뭇가지 끝을 잘라 먹는다.보노루,복작노루라고도 한다.
한국의 금강산,오대산,설악산,태백산 등을 포함하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 한다.
삵
- 생김새
- 몸길이 55~90cm, 꼬리길이 25~32.5cm이다. 몸은 고양이보다 크며 불분명한 반점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꼬리에는 분화된 회황색을 띤 희미한 고리 모양의 무늬가 7개가 있으며 꼬리 끝은 조금 검으며 꼬리는 몸길이의 절반 정도이다. 몸은 비교적 길고 네 다리는 짧다. 눈 위 코에서 이마 양쪽에 흰줄과 검은줄의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발톱은 매우 날카로우나 작으며 황백색이다. 털은 회갈색이나 양 옆구리의 색은 엷다.
- 생태
- 주로 야간에 활동하는데, 때로는 낮에도 먹이 사냥에 나선다. 서식지는 삼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이며, 물가 또는 관목으로 뒤덮인 산간 개울에 많다. 작은 들쥐류,야생조류를 습격하며 청설모,멧토끼·꿩 등의 새끼를 잡아먹는다.
5월 나무 빈 구멍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포유류가 사는 곳을 이렇게 알아냈어요?
포유류는 여간해서 직접 만나기 어렵답니다. 그러면 포유류가 사는 곳을 어떻게 알아낼 수 있을까요?
우선, 백운산에 어떤 포유류가 사는지 대략 알아냅니다. 그 종들이 어떤 곳을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를 알아보고, 조사지역을 많이 살 곳과 적게 살 곳으로 분류합니다.
몇 가지로 분류된 지역 중에서 조사할 곳을 선택합니다. 지도와 GPS 를 가지고 조사지를 찾아가서, 포유류의 흔적을 찾는답니다.
발자국, 똥, 먹이흔적, 잠자리 같은 것을 보고 어떤 동물이 거기서 무엇을 하고 갔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흔적만 조사하는 것이 아니고 그 조사지가 포유류가 살기에 좋은지 나쁜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자세하게 기록합니다. 조사된 서식환경과 흔적을 종합해서, 조사한 곳 뿐 아니라 조사하지 않은 다른 곳에서도 포유류의 서식환경은 어떻고 포유류가 얼마나 살지 예측하는 지도를 만듭니다.
- ㆍ담당부서
- 휴양림관리
- ㆍ연락처
- 061-797-3910